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려가요를 왜 남녀 상열지사라고 불렀나요?
남녀상열지사= 사랑이야기 란 뜻입니다고대노래도 현대 가요랑 똑같이 사랑이 주요 소재 였던 것이죠단순 연애수준이 아니라아예 간통이나 미망인과의 연애같은 드라마 수준의 내용도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말은 정확하게 어떤 효과인가요?
독신으로 산 다음부분이 그 단어의 기원입니다외로움을 느낀 피그말리온은 자기만의 이상적인 여성을 조각해 냈고그 조각상이 진짜로 살아 있는 것 처럼 대했는데사랑의 신 아프로디테가 그걸보고 "예는 찐이다" 라면서 조각상을 사람으로 만들어 줍니다이 일화에 본따서"교육자의 긍정적 기대는 학생의 성적을 높인다"는 효과를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죽기전에 읽어야할 소설 같은 건 어떻게 선정되나요?
없습니다.작품의 가치 자체가 주관적으로 정해지는 거라서시대마다, 사람마다 달라지는 것인데무려 전세계, 모든 시대에 인정받는 명작 리스트 같은건고대 그리스 철학속 이데아가 실존해야 가능한 허구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몽룡과 춘향이, 춘향전은 사실을 기반으로 만든 소설인가요?
춘향전은 판소리 춘향가를 원본으로 하는 작자미상의 연애 소설입니다작자가 누군지 조차 알려져 있지 않으니작품 속 내용이 작가의 창작인지 현실에 소재가 있는 지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열녀의 교훈과 신분사회의 극복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으며로맨스장르로도 꽤 수준높기 때문에프랑스, 배트남, 일본, 중국 등에 번역되기도 했습니다대중성과 작품성을 둘다 잡은 거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쇠고기, 소고기 뭐가 맞는 말인가요??
둘다 맞습니다소는 일부분을 말할때 "쇠" 로 바뀌는 문법이 있었기 때문에(쇠뿔 쇠가죽)쇠고기만 표준어 였다가굳이 바꿔부를 이유가 뭐냐는 항의가 엄청 많이 들어와서 소고기도 표준어로 인정 받았다고 합니다이런식으로표준어는 한번 정해지면 끝인게 아니라시대 변화에 따라서 바뀌는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판소리 열두마당 중 많은 수가 유실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판소리 속 이야기의 내용자체는 전부 기록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열두마당에서 손실된건 "공연"으로써의 모습그러니까 음정이나 호객수단 같은 것들인데저작권이 어느정도 보장된 현대 정보화 사회와는 정반대로조선 시대사회에선 이런 요령과 기술들 하나하나가 전부알기만 해도 먹고살 수 있어서 누구나 훔치려하는 "비전" 이었기 때문에아예 사제지간이 되어야만 제대로 교육 받을 수 있었 다는 점당시에는 그런 민속문화들이 문화가 아니라 말그대로 백성끼리 노는 "잡기"에 불과 했다는점(부모들이 게임이나 만화 보는 느낌 생각 하시면 됩니다)그리고 결정적으로, 일제시대와 6.25를 거치며 한반도의 모든 것이 박살 났었다는 점등이 이유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대마다 유행하는 장르가 바뀌는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요?
유행이 바뀌는건 인간의 본능입니다한가지에 너무 몰두하면 죽기 때문이죠.음식을 가려먹으면 영양소 결핍으로 죽고한장소에 너무 오래 머무르면 사냥당해서 죽습니다.그래서 생물에겐 아무리 좋은 것도 "질린다"는 감정을 느끼도록 되어 있어요그래서 음악도 옷도 심지어 사상이나 국가도 세대교체를 하는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가지많은 나무에 바람 잘날 없다는 무슨 뜻인가요?
가지=자식바람=걱정바람잘날=바람이 그치는 날가지가 많은 나무는 가지가 하나도 흔들리지 않는 날이 드물 듯자식이 많은 사람은 자식걱정 안하는날이 없다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고전소설 중에서 여성이 주인공인 소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춘향전, 심청전 ,콩쥐팥쥐전박씨부인전의 박씨바리공주전의 바리데기장화홍련전의 장화 홍련정도는 널리 알려져 있고 흔하지않은 경우로는금령전의 금령( 금방울 모양 용왕의 딸이 시련을 이겨 전생의 연인과 이어지는 이야기)홍계월전의 홍계월(반란으로 고아가된 후 도사밑에서 공부한 뒤 성별을 속이고 대원수가 되는 이야기)옥수호연 의 자주,벽주,명주 (세자매가 10살 부터 독립해서 남장한 후 송나라 건국영웅이 됨)등이 있습니다열녀전도 소설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고계축일기중 일부분이나 인현왕후전 같은 실존인물이 주인공인 이야기도 많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은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가요?
연역적 추론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하는 것입니다연역적 추론중 제일 잘 알려진 것은 삼단논법이죠1.사람은 죽는다2.대통령도 사람이다3.그럼으로 대통령도 죽는다1과2라는 이미 아는 지식을 통해서 3번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귀납적 추론은 관찰을 바탕으로 법칙을 도출하는 방식 입니다예를 들어, 누가 1년동안 계속 8시에 집앞을 관찰해서그 동안 어느 고양이가 항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지나갔다면그 고양이는 언제나 8시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간다는 규칙을 만들 수 있겠죠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