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당근이나, 중고나라에서 중고거래를 자주하여 거래금액이 클경우, 거래 소득세 같은것을 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중고거래도 계속 반복하여 소득이 발생하면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신고의무 있습니다. 이는 사업자등록 여부 불문이며, 현재 중고거래, 번개 장터 등 중고거래와 리셀플랫폼 사업자는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국세청에 제출하고 있습니다.이를 토대로 중고거래에 대해서도 세무서는 과세하고 있습니다.
Q. 부모님명의의 아파트에 거주할때 가장 이득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아파트의 소유권자인 부모님과 함께 그 아파트에 동거한다면 세금 문제는 없습니다.반대로 부모님의 아파트에서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고 본인과 본인의 세대가 무상거주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문제가 발생합니다. 다만 이경우에도 해당 주택이 약 13억원 미만이라면 세금문제 없습니다.해당 아파트를 매매로 취득하는 경우 부모님은 양도세, 본인은 취득세 납세의무가 있으며, 해당 아파트의 시가대로 매매대금이 이전되어야 합니다.구체적인 판단은 해당 아파트의 상세 주소, 본인과 부모님의 주택 현황, 해당 재산의 시가 등을 종합해야 합니다.
Q. 형제의 배우자에게 저가매도시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세법상 특수관계인간 부동산 거래는 해당 재산의 세법상 시가 산정이 중요합니다.시가 산정이 잘못된 경우, 임의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모든 의사결정이 과세 리스크에 노출됩니다.아파트의 경우 동일 단지내 다른 호수의 거래가액이 있는 경우로 해당 부동산과 유사하다면 그 매매가액을 시가로 보아야 합니다. 양도 예정 물건의 정확한 주소지로 상증법상 유사재산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구체적인 세액은 앞의 내용이 정확하게 파악되어야 의미 있기 때문에 질문 내용만으로는 답변이 어렵습니다.다만 아파트를 취득하는 자는 취득세, 경우에 따라 증여세 납세의무 있으며, 양도하는 자는 양도소득세 납세의무 있습니다. (비과세 요건 충족시 비과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