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킥보드도 유아용 과 주니어용이 나뉘어져 있나요?
아무래도 사용자의 신체와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아이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면 좋겠습니다. 유아용 킥보드는 안전성, 핸들 조정 기능, 미끄럼 방지, 보호 장비주니어용 킥보드 같은 경우 내구성, 속도 조절 기능, 접이식 여부, 디자인과 기능 면에 비중을 둔다고 합니다. 가급적이면 연령에 맞춰서 바꿔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Q. 아이들에게 일탈이란 어떤 정서적 영향을 주나요?
청소년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일탈, 사회성 효능감, 폭력 피해 경험 등의 심리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해당 요인들은 일탈행동을 촉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탈 행동을 예방하고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을 키우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탈행동은 사회 변화 촉진, 창의성과 혁신, 사회 문제 인식의 긍정적인 영향과사회 혼란 초래, 낙인 효과, 범죄 증가 가능성을 야기시킵니다.
Q. 회피성 성격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치료 접근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회피형 성격장애의 치료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인지행동 치료, 심리치료, 약물 치료, 사회적 기술 훈련, 긍정적인 사고 방식 훈련 등이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해당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꾸준한 노력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고 합니다
Q. 아이가 힘들다고 느낄때, 엄마는 어떤 존재가 되어 줄 수 있나요?
아이가 힘들어할 때 부모는 든든한 버팀목이나 안식처가 되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문제 해결자가 아닌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 말입니다. 따라서 부모는 공감하는 경청자, 안전한 감정 표현공간, 긍정적인 해결을 제시하는 조력자, 일관된 지지자의 역할을 감당해줘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Q. 캐치티니핑에 이어, 아이들에게 인기 많은 캐릭터는 무엇인가요?
영유아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는 뽀로로, 핑크퐁, 티니핑, 타요, 헬로카봇 등이 있습니다. 아이들마다 성별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는 것 같습니다. 뽀로로 같은 경우는 아이들에게 뽀통령이라고도 부르는데 꾸준히 사랑받는 캐릭터입니다.
Q. 아이가 단어 몇개는 하지만 대답은 안하는이유가 뭘까요..?
21개월 아이가 대답을 잘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발달은 개인차가 있기 마련입니다. 전문의에 따르면18개월까지 단어 발현이 나타나지 않거나 24개월까지 두 단어 연결이 나타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적극적인 평가를 권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합니다.아이는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18개월~24개월 사이는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18개월에는 10개가량의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였다면, 24개월에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100~200개로 늘어나게 됩니다.이런 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언어지연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하는게 좋겠습니다.그리고 최대한 언어자극(책읽기, 대화하기, 동요 들려주기 등)을 꾸준히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