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평소 역류서식도염과위염이있는데 음식먹고나면목에이물감이느껴져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음식을 먹고 난 후 목에 이물감을 느끼는 것은 주로 역류성 식도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을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켜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하나가 목에 이물감이나 음식물이 걸리는 느낌입니다. 특히 음식을 충분히 씹지 않고 삼키면 이러한 증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위염 역시 소화 기능을 저하시켜 음식물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고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식사를 천천히 하고, 음식을 충분히 씹은 후 삼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 카페인, 알코올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감이 가시지 않는 경우?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수면의 질이 떨어질수 있습니다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 중 상당수는 '수면 위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면 위생은 잘 자기 위해 필요한 모든 행동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밝은 빛을 피하고 잠이 오지 않을 때 침대에 오래 눕지 않기, 시간을 체크하지 않기,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기,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를 피하기, 자기 전 과도한 수분 섭취와 과식을 피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습관을 지키면 수면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코골이가 있는 사람들 중 약 70%는 수면무호흡증을 겪습니다. 코골이가 심하거나 고혈압, 비만이 있는 경우 수면다원검사를 받아 수면무호흡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일주기 장애, 수면행동장애, 과수면증, 기면증, 불면증 등 다양한 수면 질환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이 의심되면 수면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쉽게 잠들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많지만, 술은 깊은 잠을 방해합니다. 처음에는 잠이 잘 오는 것 같아도, 깊은 잠을 방해하고, 과음은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켜 수면 중 호흡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숙면을 위해 술을 마신다면 수면 위생을 잘 지키고, 불면증이 해결되지 않으면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잠들기 전에 운동을 하면 잠이 잘 올 것 같지만, 바로 직전에 운동을 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오히려 잠들기 어려워집니다. 숙면을 위해 운동을 하려면 최소한 서너 시간 전에 운동을 마쳐야 합니다.수면 자세도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똑바로 누워 자면 중력 때문에 혀와 주변 구조물이 아래로 내려와 숨쉬는 공간이 막힐 수 있어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이 있는 경우, 왼쪽으로 누워 자면 중력에 의해 위산이 아래로 내려가 역류를 방지할 수 있지만, 오른쪽으로 누우면 위산이 역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식도 역류질환이 있는 사람은 왼쪽으로 돌아누워 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Q. 코가 먹먹한 느낌이 나는데 왜 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비염이 심한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 코 점막이 부어오르면서 먹먹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염 외에도 부비동염(축농증), 상기도 감염, 코 내부의 염증, 또는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부비동염의 경우, 코와 부비동(부비동이란 코 주변의 공기 주머니)을 연결하는 통로가 막혀 염증과 압박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코가 먹먹하고 아픈 느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상기도 감염, 즉 감기나 인후염 등의 경우에도 코와 목의 점막이 부어올라 비슷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침을 삼킬 때 아픈 느낌은 인후염이나 편도선염과 같은 목의 염증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