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신성현 전문가
서울에이스내과의원 (개원예정)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혀옆 물집 수포 아픔 이게대체뭘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구내염의 한 종류로 판단 됩니다. 헤르페스성 구내염도 혀에 생길수 있습니다. ////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가래를 뱉었더니 살덩이가 나왔는데 이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나오신 것은 살덩이가 아니라 점액물질 콧물 등이 뭉친 덩어리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두경부 초음파 초음파와 성대부종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두경부 초음파는 목 앞쪽, 옆쪽, 그리고 때때로 뒤쪽까지 포함하여 목 전체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두경부 초음파는 주로 갑상선, 림프절, 타액선, 그리고 주변 근육 및 조직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얼굴이나 머리 부분까지는 보통 포함되지 않으며, 주로 목과 그 주변 부위를 집중적으로 검사합니다.초음파 검사 시 선크림은 바르신 것은 크게 검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성대 부종의 경우,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성대 부종이 오래 지속되면 목 이물감, 목소리 변화,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불편함과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3주째 복용 중이라면, 추가적인 치료나 검사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목이 너무 이파 침을 심킬수 없을 정도 입니다 3일전 위내시경 검사 받았는데 이와 상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식도와 위를 관찰하기 위해 내시경 기구를 입을 통해 삽입하는 절차로, 이 과정에서 식도나 목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보통 며칠 내에 증상이 완화됩니다.하지만, 만약 통증이 매우 심하고 침을 삼킬 수 없을 정도라면, 이는 단순한 자극 이상의 문제일 수 있으니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맑은 콧물이 계속 꽉차있는 이물감이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맑은 콧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거나 코에 꽉 차 있는 느낌이 있다면, 이는 비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기는 보통 목의 통증, 발열, 기침 등의 다른 증상도 동반하지만, 비염은 주로 코에 관련된 증상만 나타납니다. 비염의 원인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뉘며,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먼지, 동물의 털 등 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의해 유발되고,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감기, 냉기, 특정 냄새나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내과 혹은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라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비알레르기성 비염이라면 원인 물질을 피하는 것과 함께 증상 완화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크론병 환자 포스트 바이오틱스 복용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말씀하신 포스트바이오틱스와 비타민C 를 복용하는 것은 가능하겠으나 복용을 하시고 크론 관련한 증상이 악화양상을 보인다면 복용을 중단하셔야 하겠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아이스크림을 늦은 시간에 먹어도 역류성식도염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아이스크림을 늦은 시간에 먹고 바로 눕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스크림은 고형물이 아닌 액체 형태로 소화가 비교적 쉬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고지방과 고당분을 함유하고 있어 위산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지방 음식은 위 배출 속도를 늦추고, 위산 분비를 촉진하여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급격한 체중감소, 피로 , 만22세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성 피로 증후군이나 섬유근육통 같은 만성적인 질환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주로 피로감과 다양한 신체 통증을 동반합니다. 정신적인 원인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불안 장애나 우울증 등 정신적인 문제도 신체적인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피로감과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은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임상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피로는 휴식으로 회복되지만, 만성 피로 증후군은 휴식으로도 회복되지 않으며, 정신적 및 육체적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피로 증상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줍니다.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 중 약 2~5%가 만성 피로 증후군을 앓고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우울증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꼽힙니다.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 일부 항고혈압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소염진통제, 항경련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 감기약, 경구 피임약, 니코틴 등 약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로, 수면 부족, 임신 등의 생리적 원인,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등의 정신적 원인, 감염, 내분비질환, 대사질환, 류마티스 질환, 혈액 질환 및 악성 종양 등이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성 피로 증후군은 이러한 피로와 구별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여러 유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바이러스 감염, 면역학적 이상, 신경호르몬계 이상, 중추신경계 이상, 정신적 요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별다른 원인 없이 심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집중력 저하, 기억력 장애, 수면 장애, 위장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복통, 흉통, 식욕 부진, 오심, 호흡 곤란, 체중 감소, 우울, 불안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 및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진단에는 1994년 미국 질병 통제 예방센터(CDC)에서 정한 기준이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만성 피로와 관련된 주요 증상으로는 임상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현재의 힘든 일 때문이 아니며, 휴식으로 호전되지 않고, 직업, 교육, 사회, 개인 활동이 피로가 나타나기 전보다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이 외에 기억력 또는 집중력 장애, 인후통, 경부 또는 액와부 림프선 압통, 근육통, 다발성 관절통, 새로운 두통, 잠을 자도 상쾌하지 않음, 운동 또는 힘든 일을 한 후 나타나는 심한 권태감 중 4가지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만성 피로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나, 증상 개선에 비교적 효과가 있는 치료법으로 인지 행동 치료와 점진적인 유산소 운동 치료가 있습니다. 인지 행동 치료는 정신 치료의 한 형태로, 증상의 악화와 관련된 인지 행동 요인을 다룹니다. 또한 점진적인 유산소 운동 치료에는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이 포함되며,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천천히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경과는 환자에 따라 다양하며, 단순한 휴식으로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므로, 인지 치료, 행동 치료, 단계적 운동 치료, 약물 치료 등을 병행해야 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피부와 눈 코 입안이 파스바른것 같은 느낌이에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최근에 겪은 땀띠나 두드러기가 악화되면서 피부가 민감해져 소독약이나 다른 자극에 더 쉽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그외에는 역류성 식도염이 심해지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입과 목의 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이는 화한 느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대변을 봤는데요(사진주의)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지방변을 보신 것 같습니다. 지방변이란 지방이 제대로 소화되거나 흡수되지 못해 대변에 지방이 섞여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지방변이 관찰되었다면 췌장이나 담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지방변은 지방 함량에 따라 색깔에 차이가 있지만, 보통 희거나 은색, 회색빛을 띠며, 기름이 둥둥 떠 있는 듯한 상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지방성 설사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악취가 심합니다. 고지방 식단을 섭취했을 때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반복된다면 췌장이나 담도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우선 췌장에 염증이나 암이 있을 때 지방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췌장은 소화를 담당하는 장기로, 소화 효소를 분비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췌장염이나 등으로 인해 이 효소가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 지방이 소화되지 않아 지방변이 생깁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