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 유전자를 조작하는것은 법적으로 금지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람의 유전자 조작이 식물처럼 된다는 가정을 해볼까요병에 저항성을 높이고, 불치병이 치료되고 긍정적인 부분도 많겠지만인체 실험을 통해 팔이 3개 달린 사람이 나올 수도 있고, 좀비처럼 인간의 성격은 잃은 공격적 성향의 사람이 나올 수도 있죠.식물처럼 유전적으로 대부분의 정보가 밝혀져 있는 생물과는 다르게인간은 아직 밝히지 못한 정보가 너무 많은 상황이라 리스크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인간의 유전자 조작은 어느 연구보다 많은 안전성 부분의 검토사항이 가장 많이 되게 되고임상을 시도하려고 계획을 하려고 해도, 법적으로도 제약을 많이 걸어두고 있습니다.또한 유전자를 조작하는것은 연구윤리 부분으로 제한되는 부분도 큽니다.종교계 등 사람의 존재 자체를 조작하는 행위는 신이 아니고는 마음대로 조작하면 안된다는 주장들이 많고식물등의 조작보다 파급되는 영향력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많은 연구들이 법적으로 검토를 많이 받고 제한도 많이 받는 상황입니다. 점차적으로 유전자치료제 등이 개발되는 추세기도 하고조금 더 시간이 흘러 긍정적인 부분이 더 부각된다면,앞으로의 미래에서는 사람의 유전자를 조작해보는 시도들도 이루어질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Q. 멸종 위기 동물 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실 상 주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멸종 위기 동물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도시에서는 특히 더 그렇고,멸종위기 동물들은 이미 동물원에서 보육하거나, 관리가 들어가 있는 동물들이 많죠.직접적으로 이 동물들을 돌보겠다는 느낌보다는말씀해 주신 생태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개개인의 노력이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자연에 있는 동식물, 곤충들을 해하지 마시고 잘 가꿔주시거나나무를 더 심어 생물이 살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바지하거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상어가 바다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상어도 굉장히 다양한 종이 있고, 각 종마다 성격이 다르고 먹이가 다르지만공통적으로 포식자 외의 다른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사실 어렵습니다.거꾸로 아프리카에 사는 사자가 포식자로서의 역할 외에 다른 역할도 하느냐도 생각해보시면 비슷할 것 같습니다.생각보다 이 포식자로의 역할은 자연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며, 먹이사슬에 따른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만약 포식자인 상어가 없어지면, 그 밑에 상어가 잡아먹던 물고기의 번식이 왕성해 질 것이고 그러면 또 그 물고기가 잡아먹던 먹이들(예를들면 플랑크톤)이 급격히 감소하여 그 환경 자체가 파괴될 수 있으며먹이를 찾아 다른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또 다른 지역까지 생태계가 파괴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외부요인이 없다면 포식자 개체수 등이 자연적으로 조절이 되고 있으며인간이 개입해 어떠한 생물들을 대량 잡아가거나 해하는 경우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생물학자들과 환경 보호학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정한 법을 지키고,인간의 무분별한 활동을 제지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결론적으로는 포식자의 역할을 하는 동물로, 생태계에 꼭 필요한 동물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