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윤보섭 전문가
강원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칠판 긁는 소음은 본능적으로 다들 싫어하는데 생물학적 이유가 따로있는가?
칠판을 긁는 소리에 대한 본능적인 혐오감은 오랜 진화의 산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도 생물학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데요.우선 우리의 청각 시스템 특성상 높은 주파수의 소리는 청각 신경을 더 많이 자극하게 됩니다. 칠판 긁는 소리는 주파수가 높아 우리 귀에 날카롭고 불쾌한 자극을 줍니다. 이는 잠재적 위험을 감지하는 본능적 반응과 연결되어 있습니다.또한 우리 조상들은 야생 환경에서 날카로운 소리를 위험 신호로 인식했습니다. 예리한 돌이 긁히는 소리가 맹수의 발톱 소리일 수도 있었기 때문이죠. 이런 소리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과거 생존에 유리한 적응 방식이었습니다.마지막으로 현대 연구에 따르면 칠판 긁는 소리는 불쾌한 정서를 일으키는 뇌 영역을 활성화시킨다고 합니다. 이는 청각 자극에 대한 본능적인 반응이 신경생리학적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결론적으로 칠판 긁는 소리에 대한 혐오감은 높은 주파수 소리에 대한 청각계의 민감성, 위험 신호에 대한 진화적 적응, 그리고 소리 자극에 대한 뇌의 정서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눈썹은 일정 길이가 되면 더이상 길지않는데 털에 메모리가 있나요?
눈썹이 일정 길이 이상 자라지 않는 이유는 특정 생물학적 메카니즘 때문입니다. 그치만 이것이 털 자체에 어떤 메모리가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털은 주기적으로 성장하고 탈락하는 주기를 갖고 있습니다. 이 주기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되어 있죠. 눈썹 주기는 일반 머리카락보다 짧아서 일정 길이에 다다르면 더 이상 자라지 않고 탈락합니다.만약 머리카락을 눈썹 부위에 이식하면? 처음에는 눈썹처럼 짧게 자랄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원래의 긴 주기를 따라 자라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부위에서도 여전히 머리카락의 유전적 프로그램을 따르기 때문이죠.따라서 눈썹이 일정 길이에서 멈추는 것은 털 자체의 메모리 때문이 아니라, 그 부위 특유의 모발 주기 프로그램 때문입니다. 같은 이유로 다른 부위 털을 이식해도 결국 원래 모근의 주기를 따르게 되는 것이죠.
생물·생명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딱따구리는 뇌에 뇌진탕이 안생기는가?
딱따구리는 머리를 나무에 박고 구멍을 뚫는 행동 때문에 뇌진탕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딱따구리는 특별한 진화적응을 통해 머리 부상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먼저 딱따구리의 부리는 치밀하고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충격 흡수가 잘 됩니다. 부리 주변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작은 공기주머니도 따로 있습니다. 또한 딱따구리는 목 근육이 매우 강해 머리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 근육은 머리가 앞뒤로 움직이지 않게 해주어 충격으로 인한 뇌 손상 위험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마지막으로 딱따구리의 작고 단단한 두개골은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딱따구리의 뇌척수액과 뇌 구조 자체도 다른 조류에 비해 충격에 강한 편입니다. 이런 특성들이 딱따구리의 뇌진탕 위험을 최소화해줍니다.결과적으로 딱따구리는 진화 과정에서 나무를 쪼는 행동에 적응하여 특별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뇌 손상 없이 안전하게 먹이활동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서양인이 동양인보다 눈부심에 약한 이유가 뭔가요?
서양인들의 눈이 동양인들에 비해 눈부심에 더 취약한 이유는 대체로 유전적 요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양인들은 홍채에 색소가 적게 침착되어 있어,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동양인보다는 많기 때문입니다.또한 동양인의 안구가 서양인에 비해 작고 깊이도 얕아 빛에 노출되는 정도가 적다는 안구 해부학적 차이도 있긴합니다. 더불어 강한 빛에 노출될 때 맥관류 피질의 혈류량 변화가 서양인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마지막으로 환경 적응 측면에서 동양인들은 유전적으로 강한 일조량 환경에 더 잘 적응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개인차가 있고 다른 요인들의 영향도 있어서 아직은 추론일 뿐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에 있는 사해에도 생명체가 살고 있나요?
사해는 지구상에서 염분 농도가 가장 높은 호수로 일반적인 생명체가 살기엔 매우 어려운 환경입니다. 사해에는 몇몇 미생물군과 아르테미아같은 특정 동물들만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세상에서 가장 작은 씨앗은 무엇인가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씨앗은 아마 라플레시아 꽃의 씨앗일 것으로 추정됩니다.라플레시아는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에서 자생하는 초대형 기생꽃인데 이 꽃의 크기는 1m가 넘을 정도로 거대하지만, 씨앗의 크기는 길이 약 0.14-0.21mm 정도로, 통상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물체인 모래알 보다도 작습니다.이렇게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라플레시아 씨앗 속에는 발아에 필요한 모든 요소가 들어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일반적으로 자연곱슬의 명확한 기준이 있을까요?
자연곱슬을 정하는 일반적인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타고난 곱슬, 직경 65um 이하의 가는 모발, 불규칙하고 영구적인 컬 패턴의 특징을 가진 머리를 자연곱슬이라고 부릅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삼출엽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삼출엽은 삼출복엽이라고도 부르며 3개의 소엽으로 이뤄진 곂잎 형태의 이파리 식물입니다. 주로 토끼풀이나 칡, 싸리 등의 잎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식물들도 햇빛을 너무 받으면 힘들어할까요??
햇빛은 식물에게 있어 광합성을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지만 너무 강한 햇빛은 오히려 식물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적정한 햇빛 조건에서는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잘 자랄 수 있지만 햇빛이 너무 세지면 광합성 과정이 방해를 받게 되죠. 강한 광선은 식물의 엽록체를 손상시키고, 지나친 열로 인해 물 스트레스도 받게 됩니다.너무 강한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면 식물잎이 탈수되거나 일소현상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일소란 잎이 그을리는 현상인데 식물의 광합성 능력을 크게 떨어뜨립니다.그래서 대부분의 식물들은 너무 강한 햇빛을 모두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식물 종류에 따라 적정 광선량이 다르지만 보통은 적절한 햇빛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농작물의 경우에도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생육이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암이라는 것은 인간에게 백해무익한가요??
암이라는 존재는 우리 몸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암세포들은 우리 몸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죠. 암세포들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고 강화시켜 줍니다. 이런 면역반응 과정에서 우리 몸은 암세포들과 싸우면서 면역력이 길러지는겆ㅛ.또 암 연구를 통해 인류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 그리고 세포주기 조절 등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런 지식들은 다른 질병들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고 있죠.물론 암 자체가 우리에게 해로운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암과의 싸움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암 연구를 통한 지식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암 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들을 극복하는데도 큰 역할을 할 거에요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