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윤보섭 전문가
강원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왜 저녁때 쯤에 모기나 벌레가 나오는 걸까요?
대부분의 곤충들은 밝고 어두워지는 광주기에 의해 생리 과정이 조절되고 행동도 결정됩니다. 또 저녁 무렵이 되면 기온도 서늘해지고 습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곤충들이 활동하기 적절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일몰 전후로 곤충들의 활동량이 증가하여 어둑어둑해질 즈음에 날벌레나 모기들이 많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바닷물에 오래 있으면 사람은 위험한가요??
보통 바닷물에 수시간 들어가있지는 않기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바닷물에 2-3시간 이상 너무 오래 들어가 있으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에 장기간 한 번에 오래 들어가 있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바닷물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는 수돗물 등 담수로 몸을 씻어주는게 좋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항균실험을 할때 대장균배양에 대하여
모든 미생물 시험은 배양시간이 중요합니다. 배양시간을 너무 오버하면 균이 과다배양되어 항균효과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 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개인스케줄이든 시험스케줄이든 조정하여 진행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향신료의 항균효과를 관찰하는 실험보다 더 나아가
향신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대장균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을 하신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향신료를 열처리하거나 pH에 변화를 주어 항균효능이 변화하는지 시험해볼 수 있겠고 여러 향신료를 섞어 혼합물 상태에서의 항균력도 시험해볼 수 있겠습니다. 무엇보다 실용적인건 실제 자주 접하는 식품류에 항신료를 첨가하여 각 식품 모델의 부패 방지 효능을 알아보는 시험일겁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지구상의 생명체의 혈액 색깔은 대부분 빨간색인가요??
일부 생물들은 우리와 다른 색깔의 혈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혈액의 색깔은 혈림프 속에 들어있는 호흡 색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청록, 청, 보라, 심지어 투명한 색의 혈액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나뭇잎과 풀잎은왜 여름내내 푸르게있다가
식물이 계절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계절적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입니다.봄, 여름에는 온도와 일조시간이 길어지므로 식물은 활발히 광합성을 하여 영양분을 만듭니다. 이 때 잎이 초록색을 띄는 것은 엽록소의 색소때문입니다.반면 가을, 겨울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고 일조시간도 짧아져 광합성에 불리해집니다. 이 때 식물은 잎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수분과 영양분이 필요한데 그렇게 하기 어려워집니다.따라서 가을이 되면 잎의 엽록소가 분해되어 녹색이 사라지고, 잎에 들어있던 영양분은 가지나 뿌리로 이동합니다. 이후 잎은 시들고 낙엽이 됩니다.이렇게 잎을 없애면 건조한 겨울에 수분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영양분을 가지와 뿌리에 보존할 수 있습니다. 봄이 되면 다시 새 잎이 나와 광합성을 하게 됩니다.이러한 전략은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겨울을 견디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진화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씨몽키는 물을 붓기 전에도 살아 있는건가요??
씨몽키는 작은 건조 알갱이 형태로 판매되며 휴면란(dormant egg) 상태입니다. 휴면란은 완전히 건조된 형태의 알로, 대사 활동이 거의 없어 생명 활동이 정지된 것과 비슷한 상태의 알입니다.물을 부으면 이 휴면란이 부화하면서 알테미아 유충이 태어나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물을 부기 전까지는 생명 활동이 거의 없는 휴면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다만 장기간 건조 상태가 지속되면 휴면란도 점차 활력을 잃어 결국 죽게 되므로, 제품의 유통기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유통기한 내에서는 물을 부을 때까지 생명활동이 정지된 휴면란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의약품과 관련된 고등학생이 할 만한 실험 다양하게 알려주세요!
실험장비가 어떤게 있으신지 모르겠지만 고등학생 수준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 간단한 것부터 나열해보자면 생약 성분 추출시험, pH에 변화에 따른 약물 용해도 관찰시험, 지시약을 이용한 제산제 중화반응 시험, TLC를 이용한 혼합물의 개별 성분 확인 시험, 항생제 세균 억제 시험 등이 있겠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곰팡이 균은 공기중에 떠다니나요??
곰팡이 균이 전파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 번째로는 공기 중에 떠다니며 전파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곰팡이 포자가 물체나 사람의 피부 표면에 묻어있다가 옮겨지며 전파되는 방식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꼬리가 없을까요?
추측하신것처럼 인간이 꼬리가 없는 이유는 진화의 과정에서 점차 퇴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조상들이 네 발로 걷다가 두 발로 걷게 되면서 꼬리의 필요성이 줄어들었습니다.꼬리는 본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네 발로 걸을 때에 비해 두 발로 걸을 때 균형을 잡기가 수월해졌기 때문에 꼬리가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또 직립 보행을 하게 되면서 골반의 모양이 바뀌었고, 이로 인해 꼬리를 가질 공간이 부족해졌습니다.오히려 꼬리가 있으면 직립 보행 시에 방해가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진화의 과정에서 점차 퇴화하여 현재는 꼬리가 없는 모습이 되었습니다.다만 극초기 사람 배아에서는 미세한 꼬리 싹이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 조상들이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이 꼬리가 없는 것은 진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