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미국 셧다운이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생기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만약 미국 셧다운이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 발생하면 예산안이 제때 처리되지 않아 기관의 업무 중단이나 급여 지급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연계된 서비스가 차질을 빚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은 정부 예산이 통과 되지 않아 공공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입니다. 금융시장 불안, 안전 자산 선호 증가, 단기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발생하면 연방정부의 비필수 업무가 중단되고 공무원들이 휴직 또는 무급 근무에 들어가 경제 활동 위축과 정부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게 됩니다. 연방 정부 예산안 협상이 지연되어 불확실성이 커지고,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경제성장 둔화 우려로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셧다운이 발생하는 경우 국방, 항공 등 사회 유지에 필요한 필수 행정을 제외한 모든 행정 서비스가 마비됩니다.

    이때 국민들의 소비 감소와 기업의 매출이나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져 경제도 무너집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은 연방 정부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해 정부 운영에 필요한 자금이 고갈되어 일부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사태를 말합니다. 이는 '미국의 신용 위험'과는 다르지만, 공무원과 정부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시장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킵니다. 셧다운 시 생명, 재산 보호와 관련된 필수 서비스는 유지되지만, 비필수 서비스는 중단됩니다. 셧다운이 단기에 그치면 영향이 미미할 수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실질적인 경제적 손실을 가져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에서 셧다운이 일어나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셧다운은 정부 업무가 멈춘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미국 내가 아니라면 그 파장의 영향은 미미하거나 없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 현실이 되면 많은 미국 정부 서비스는 중단되고 수십만명의 임금 지불이 불투명해지는데요. 200만 명의 미군 병력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미 국방부의 민간 직원 80만 명 중 약 절반이 일시해고(강제무급휴가)되고, 보잉, 록히드 마틴, RTX 등 방산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형사 사건 기소 관련 업무는 계속되지만 대부분의 민사 소송은 연기되고, 독점규제 기관인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소비자 보호 직원 대부분은 해고될 것이며 독점금지 직원의 절반도 일시해고될 수 있습니다. 국립보건원(NIH), 국립과학재단(NSF),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같은 기관이 직원 대부분을 일시 해고함에 따라 과학 연구가 중단될 것이고, 국립 보건원은 대부분의 직원을 해고하고 의료 치료에 대한 새로운 임상 시험을 연기됩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직원 4600명 중 약 90%를 해고하고 대부분의 활동이 멈춰지며, 학자금 대출 등은 계속 지급되지만 이를 집행하는 교육부 직원이 대부분 일시해고되므로 절차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셧다운이 발생한다고 해도 큰 문제는 없을거라고 보입니다. 이미 셧다운 문제는 하루이틀이 문제도 아니며 반복되는이벤트일뿐입니다. 과거에도 셧다운이 발생한다고 해도 미국의 시장금리가 크게 폭등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결국 다시 협상이 되면서 일단락되었을 뿐입니다.

    셧다운이 되고 나서 아예 협상도 안하고 국채를 신규로 발행을 못해서 차환도 못하게 될경우 이는 디폴트입니다 이는 국채금리가 엄청나게 폭등하고 미국의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전세계 글로벌 패닉입니다 이런 무리수는 둘 가능성은 아예 제로이며 과거에도 이런 경우는 발생한적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제 오히려 미 증시는 급등을 하였고 기술주중심으로 올라간것만 봐도 단편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 셧다운은 주로 연방정부 예산안 합의 실패 시 정부 업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시 중단되는 상황인데 직관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미국 의회가 연방정부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제때에 승인하지 못할 때 발생하며 운영비 부족, 비필수 공무원 휴가, 여러 관련 업무 중단 등으로 일반 국민들과 기업들이 불편을 겪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 실제로 벌어지면 연방정부 예산이 막히는 거라서 공공 서비스 일부가 중단됩니다. 필수 인력은 일단 무급으로 계속 일하지만 비필수 부서는 문 닫게 되고, 행정 지연이 길어지면 기업 활동에도 영향을 줍니다. 보기에 금융시장에서는 불확실성이 커져서 달러 대신 금이나 엔화 같은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릴 수 있고,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 과거 사례를 보면 장기화되면 소비심리도 위축되고 경제성장률 전망도 깎이곤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셧다운이 실행이 된다고 한다면 이는 문을 닫는다는 의미로 이러한 근무를 하지 않기 떄문에 공공기관이 특히 업무를 하지 않아 관련 서류를 떼거나 업무를 처리하는데, 지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업무처리의 연기로 인해 대금지급이 지연이 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원활한 업무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연금이나 복지와 관련된 비용에 대한 처리도 제떄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