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11월 15일 작성 됨
Q.
줄넘기가 아이 키크는데 도움이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줄넘기를 하면 키가 큰다는 것 과학적으로 증명 되지 않은 사실 입니다 운동을 하면 성장에 도움을 줄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하는 것 같아요 운동을 통해 다른 친구와 어울리면서 사회성도 기르고 몸이 건강 해진다는 겁니다 운동에 대한 장점은 무척이나 많이 있습니다 건강한 육체가 건강한 정신을 만들기도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자녀 사진을 SNS에 올린 부모는 문제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와의 일상을 공유 해서 다른 사람들과 공감 하고 싶은 마음에 올리는 것 같아요 하지만 sns에 너무 집중하다 보면 일상 생활이 어렵고 아이의 육아에도 문제가 될 것 같아요뭐든 적당하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 육아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갑자기 특정 음식만 계속 먹고 싶어할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특유의 야채향를 싫어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야채향이 나지 않게 튀김 요리를 하거나 해서 아이의 식사를 유도 하시는 것도 방법이 될수 있어요 부모님도 야채를 많이 섭취하고 맛있다고 이야기 해주는 것도 조금의 도움이 될수 있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다른 친구의 물건을 가져오는 일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가지고 싶은 것이 있으면 가지고자 하는 욕구를 이기지 못해 안되는 행동인 줄 알면서 자기도 모르게 가져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다른 친구의 물건을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왔다면 친구의 물건을 함부로 허락 없이 가져 오는 건 옳지 못한 행동 이라고 이야기 해주고 이해 시켜 주세요 그리다 다음날 친구에게 사과 하고 돌려 주라고 말해 주세요 담임 선생님께도 전화 해서 사실을 알리고 친구에게 잘 사과 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하세요 한번으로 아이의 잘 못된 행동이 고쳐 지지 않습니다 화를 내거나 큰소리로 혼내는 것은 오히려 좋지 못한 결과를 가지고 올 수 도 있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교육 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식사 중 음식을 자주 흘리는 아이의 식습관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초등 학교 저학년 이라면 아직 연습이 되지 않아 밥을 먹을 때 흘릴 수 있어요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면 그럴 수 있습니다 혼을 내는 것 보다 식사를 천천히 하거나 해서 아이가 바른 식사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시간에 주위를 조용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tv을 시청하고 있다면 끄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식사에 집중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 해 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뒤집기를 성공한 아이가 엎드려서만 자려고 한다면, 이것이 괜찮은 행동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기들은 뒤집기에 성공 하면서 엎드리는 자세가 되곤 하면서 옆드려서 자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아기도 잘 자고 하니 그냥 나두는 경우가 있는데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자세로 잠을 재우는것이 좋습니다 아기와 잠을 자다가도 일어나 아기가 엎드려 자고 있다면 자세를 바르게 바꾸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혼자서 두 역할을 맡아 혼잣말하며 놀 때, 부모는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혼자 있거나 혼자 놀이는 하는 것은 정서적으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님은 아이에게 재미있는 놀이를 하네 하면서 자연스럽게 끼어 들어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인2역을 하는 건 함께 놀고 싶으나 놀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 되어 자기만의 방법으로 하는 놀이이다 보니 좋은 놀이 방법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특정 주제에 큰 흥미를 보인다면, 그 관심을 어떻게 더욱 키워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잘하고 관심 있어하는 것을 시키는 것은 아이의 자신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자신감이 높아지면 자존감도 올라가기 때문에 학교 생활을 잘 할 수 있고 친구 관계도 좋아 질 수 있어요 부모님의 입장이면 아이가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잘하면 잘 한다고 칭찬하고 응원하는 것이 최고의 방법 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초1 딸아이가 말을 너무 안들어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우선 딸아이가 부모님의 대한 신뢰가 떨어 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님 보다 친구가 더 믿을 만 하다고 생각 하고 재미도 있다고 생각 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와 소통이 필요 한것 같아요 아이의 말을 끝까지 잘 들어주고 이해 하며 공감이 필요 한 것 같아요 초등학교 1학년이면 아직 부모님의 관심이 필요한 시기 입니다 아직 학교 생활에 익숙 하지 못하기 때문에 통제가 필요 합니다 학교 마치면 집에 와서 부모님과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 한데 어떠한 이유로 그러지 못했으니 아이의 생활 습관이 좋지 못하다고 생각 됩니다 우선 학교를 마치면 집으로 먼저 오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집에 오면 아이가 오늘 하루에 학교 생활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하면서 아이와 유대감을 먼저 쌓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유치원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집에서 풀려고 할 때,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세상에서 가장 좋고 편한 사람이 부모님이다 보니 힘들었던 유치원 생활의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표현 할수 있어요 이때 화를 내기 보다 아이의 불안 하고 불편한 마음을 잘 알아 주고 이해 해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가정이라는 곳은 언제나 편하고 좋아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도 휴식을 할수 있고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죠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