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아지 포피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고름이나 피지가 과하게 나오지 않는 상태면, 하루 한 번 정도로... 너무 자주 닦아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생식기는 예민한 피부인데다가, 해면조직 특성상 자극을 받으면 혈류가 확 쏠리게 되는데, 이는 다른 피부의 단위면적당 혈류량 보다 훨씬 높은 양이며, 혈류 쏠림으로 인해 해당 부분 대사가 왕성해지고 별다른 생식행위가 없다면 주변 피지조직의 대사가 더 두드러지게 높아질 수 있지요. 가려워하거나 지저분한 상태였다면 하루 이틀 정도 깨끗이 닦아주신 뒤, 열흘에서 2주 정도에 1회 정도 씩 가볍게 닦아주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다만, 피부가 붉거나 각질이 너무 많이 보이거나, 고름이 보인다면 이 때는 추가적으로 항생제를 내복하거나 도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Q. 저는 미래에 연구원가 되고 싶은 초5입니다 제가 미래에 발명시킬 2가지 실험에 대해 가능한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텔로미어는 DNA의 예비영역 유전자부분이며, 알고 계신것처럼 텔로미어를 지속적으로 늘릴 수 있으면 이론상으론 세포자살을 통제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텔로미어 말단부만 늘리는 것은 세포를 지속적으로 분열을 하게 하는 것일 뿐, 이미 '유의미한 유전자 영역'의 손상, 즉 텔로미어 앞쪽의 진짜 유전자 부분에 대한 손상이나 원치않은 돌연변이 등은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전사와 번역이 일어나게 되며, 이것이 누적되면 결국 '암세포의 유전자'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즉, 텔로미어를 늘리는 연구와 동시에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가 함께 병행되어야 하나 후자의 경우 난이도가 굉장하며, 현재 학계나 산업계에서도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천재 유전자도 흥미로운 부분이긴하나, 우성학 관련 등 생물, 의료윤리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또, 돌연변이를 통해 어떻게 천재성을 띠게되었는지 그 인과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무엇이 되었든, 열심히 공부하셔서 해당 한계를 잘 해소하고 멋진 과학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Q. 약물 대사가 무엇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약물의 대사란, 우리 몸에 들어와서 인식되고 배설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구강이든, 주사든 외부에서 유입되는 약물은 대개 우리 몸에 존재하지 않던 물질이 유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의도하는 효과(해열제라면 해열, 소화제라면 소화에 도움을 주는 형태)를 낸 뒤에, 이 물질이 다른 부작용이나 독력없이 체외로 소변이나 땀, 혹은 대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체내에서 이 물질을 가공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총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