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칭기즈칸의 체격은 어느정도였으며 뛰어난 능력부분은 무엇이엇나요
징기스칸의 체격에 대해서는 역사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습니다.다만 그의 말년에 그려진 초상화를 보면 상당히 후덕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징기스칸의 능력은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결코 포기를 몰랐다는 것입니다.어린시절 부족장인 아버지가 독살당하고 부족민들이 자신을 배반하여 어머니와 동생들과 남겨진 상황에서 시작하여 몽골을 통일하고 당시 문명의 3분의2이상을 지배하였다 합니다. 신상필벌이 확실했습니다. 그는 어린시절 자신의 이복동생또한 규율을 어기면 처형을 할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인재를 보는 눈은 매우 뛰어나고 또 신임도 두터워서 야율초재나 제배같은 문무의 뛰어난 인재들을 파격적으로 발탁하여 국정을 맡겼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기원전과 기원후는 뭘로 나누나요??
네. 맞습니다.예수님이 탄생하기 이전을 B.C라고 하고 예수님이 탄생하신 이후를 A.D라고 표기합니다.예수님의 탄생이 그만큼 세계사에 있어 분기점이 될만한 사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동학농민운동의 동학과 농민을 함께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동학은 최재우가 창시한 종교입니다. 당시 조선은 괸리들의 수탈등으로 피지배층인 농민의 어려움은 가중되어 갔습니다.동학의 사상인 '후천개벽'은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며 암울한 현실에 빠진 농민들에게 희망과 의지를 주었습니다. 또한 '인내천'이라하여 사람이 곧 하늘과 같다하여 세상에는 빈부귀천이 없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사상들은 당시 지배층에게는 매우 위험해보였고 교주를 처형하는등 탄압이 심해졌습니다. 이에 농민들을 총궐기를 통해 나라에 저항을 하였고 이를 동학농민운동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잔다르크는 실제역사에서 군사적재능이 있었다는것이 사실인가요?
당시 기록을 보면 기적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잔다르크의 여러 군사적 업적들이 나옵니다.전쟁의 승기를 뒤집은 것은 물론 심지어 보통 사람이면 즉사할만한 타격을 받고도 아무렇지 않게 다시 싸우거나 하는 일등이 그렇습니다. 모국인 프랑스만이 아니라 적국이었던 영국에도 비슷한 내용이 기술된 것을 보면 단순히 가공된 능력이나 사건이었다고 치부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이스라엘은 왜 주변국가와 사이가좋지않나요
영토없이 전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던 이스라엘은 시오니즘운동을 통해 조상들의 영토인 팔레스타인에 나라를 세우고자 헀습니다. 그런데 이미 이 영토에는 팔레스타인들이 살고 있었고 주변은 이슬람교를 믿는 중동 국가들이었습니다. 때문에 알박기를 한 이스라엘이 곱게 보일리가 없겠지요. 중동 연합군과 여러번 전투도 벌어졌으며 지금도 앙숙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불국사는 어느시대때 건설되었나요?
불국사는 통일 신라시대에 건축되었습니다.신라는 불교가 국교였습니다.김대성이 창건했으며 과거,헌재,미래의 정토사상을 구현하였다고 합니다.삼국을 통일한 신라의 자신감이 드러낸 건축의 정수입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신채호가 쓴 역사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단재 신채호는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사학자로 많은 저술을 남기셨습니다. 필명도 하나가 아니라 여러가지셨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저서는 '조선상고사'가 있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강감찬 장군은 무과 출신이 아니라 문과 출신인가요?
네. 과거에 장원급제한 문과 출신입니다. 드라마에서도 예부시랑 직위에 있었는데 문반들이 주로 맡는 직책입니다.고려에서는 전쟁이 벌어지면 문반이 총사령관을 맡는 것이 관례였습니다.그러고보니 고려의 전신인 고구려 을지문덕 장군또한 우문술에 오언시를 보냈는데 문반이셨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역사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 오랜동안 싸우고 있는 것 인가요?
다른 이유도 많이 있겠지만 예루살렘이 이슬람과 유대교의 성지라서 종교적 신념이 강한 두 나라가 역사를 통해 많은 원한을 가지고 충돌을 해 왔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일본은 본인들의 역사를 어떻게 가르치고 있을까요?
아무래도 정부 기관인 문무과학성의 승인을 받아야하니 자국에 불편한 역사는 감추고 유리하게 쓰여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일본은 의식있는 학자나 시민단체들이 많습니다. 사회활동을 많이 하는데 일본이 한국에 저질렀던 불행했던 과거에 대해서 오히려 한국보다 더 깊이있고 심도있게 자료를 모으고 일본 정부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