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금붕어같은 물고기들도 지능이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연구에 따르면 금붕어의 아이큐 즉 지능은 약 30~40정도로 측정이 됩니다. 사람의 경우 이 수치를 지능으로 간주하지 않지만 사람이 설정한 낮은 기준보다는 앞서 있는 편입니다.금붕어 및 어류의 경우 포유류 보다 더 높은 지능을 보이는것으로 알려졌습니다.금붕어는 잉어류에 속하며, 잉어류의 물고기는 적어도 3개월의 기간을 기억하고 있는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떠한 경우는 이러한 장기기억이 두배라는 연구결과 또한 있습니다.금붕어는 기본적으로 보호자를 인식할수 있으며, 음악에 반응하고 인간이 볼수 있는 색상 또한 볼수 있다고 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차량의 창문을 열고 달리면 저항계수가 얼마나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창문을 열고 달리면 공기 저항이 높아집니다. 어느정도인지는 속도에 따라서 다르죠.에어컨 키는 정도와 창문을 여는 정도의 연료소모가 유사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본격적인 여름이 오기 전에 차량 썬팅을 하러 왔는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원리는 취조실 유리를 생각해보면 쉽습니다.취조실 유리는 조명과 거울효과를 이용해서 제작됩니다.유리의 한쪽면은 어두운 블랙색상인 반면 반대편 유리면은 거울처럼 반사가 되도록 만들었습니다.취조실은 유리면이 거울반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조명까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쪽은 조명이 어둡고 거울반사가 없습니다. 취조실에서 보면 반대편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고 오히려 취조실 내부의 모습만 유리에 반사되어 거울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반대편은 조명도 어둡고 거울반사가 나타나지 않아서 조명이 켜진 취조실을 그대로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최근에 부산에도 50층 60층 높이의 아파트 및 주상복합 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층건물은 흔들리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비유를 들자면 흔들리는 갈대는 강한바람에 흔들리지만 꺽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무는 부러지거든요마찬가지 원리로 바람, 지진 등에 견디고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흔들리게 설계를 한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인간의 뇌를 최대한 사용한 사람은 몇퍼센트나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뇌를 몇 퍼센트 사용했다는 것은 맞지 않은 내용입니다. 예전에 사람이 뇌를 사용하면 무궁무진하다, 개발하기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몇 퍼센트 사용한다는 말을 한 것입니다. 사용하기에 따라 아인슈타인처럼 정말 머리 좋은 사람이 되기도 하고 아니면 보통사람처럼 살기도 하죠. 아직 뇌는 미지의 과학이라서... 정확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인간이 볼 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이 끝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가시광선을 볼 수 있습니다. 그 파장은 380~780nm입니다. 이보다 작고 큰 영역은 볼 수 없습니다. 그 영역이 자외선, 적외선 입니다. 장비를 갖추면 볼 수 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인류가 남극 북극 탐험은 다 못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과 북극은 사람이 탐험한 것 같은데, 정북극과 정남극은 가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도 가장 미지의 개척지는 심해입니다. 심해는 아직 10%로 정도 밖에 탐험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사람이 빛을 볼 수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빛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이 동공을 통해 눈으로 들어 옵니다. 그리고 그 빛은 수청체를 거처 망막 그리고 황반에 도착하고 망막에서 뇌로 신호를 전달하여 물체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고산지대로 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산지대는 해발 고도가 높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또 고산지대는 태양으로 부터 오는 햇빛이 거의 직각으로 오지 않기 때문에 강한 일사로 인한 열손실이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날씨가 점점 더위지고 있어서 반팔입는 분들이 보이네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어두운색이 빛을 잘 흡수합니다. 그래서 덥게 느낄 수 있습니다. 흰옷은 빛을 반사합니다. 즉 열을 반사하는 것이죠. 태양빛을 받을때 검은색이 더 열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죠.
261
262
263
264
2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