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기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 : 주로 화석연료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기체로 지구 온난화 지수는 낮으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메탄 : 유기물이 분해할 때와 가축의 배설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 된다. 메탄의 발생량은 약 4.8%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작은 양이 발생되나, 메탄 1분자가 일으키는 온실 효과는 이산화탄소의 21배로 지구 전체 온실효과의 15~20% 이상을 차지한다.이산화 질소 : 석탄을 채광하거나, 연료가 고온 연소시, 질소질 비료를 통해 발생되며, 발생량은 약2.8%다.수소불화탄소 : 불연성 무독성 가스로 냉장고 및 에어컨의 냉매, 발포, 세정, 반도체 공정의 에칭가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과불화탄소 :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냉매, 소화기 및 폭발방지물, 분무액, 솔벤트용제, 발포제,반도체 세척 등으로 쓰이는 가스이다. 육불화황 : 육불화황은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도 다량 사용되고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가스로도 사용된다.
Q. 하루를 24시간,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 나눈 기준이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자와 수학, 천체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문명중 하나인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사용한 체계가 상당부분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바빌로니아는 12진법, 60진법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그대로 각도와 시간단위에 적용되어 전해오는 겁니다. 즉 아직까지 이러한 표기가 이어지는 것은 '관습'적인 이유이죠하지만 12진수를 쓰게된것은 나름 이유가 있습니다 사실 수를 표시할 때 12진수는 10진수보다 유리합니다 천문(고대에서 기상, 수학, 달력 등과 농업등 산업전반은 천문과 관련이 있었습니다)에서 12란 숫자는 매우 중요했으며 비교적 문화권을 초월하여 널리 쓰였고 비단 바빌로니아 뿐 아니라 이후의 문화권에서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별의 온도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스펙트럼입니다 별의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을 띄고 그와 반대로 낮을 수록 붉은 색을 띕니다.스펙트럼은 O, B, A, F, G, K, M으로 나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