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전설 속에 등장하는 영웅들은 왜 이상한 탄생비화를 지니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자연을 숭상하였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도 바다의 신 포세이돈, 땅의 신 가이아, 하늘 번개의 신 제우스 등도 그렇고, 북유럽 신화의 천둥의 신 토르 등도 그러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대부터 하늘의 자손이라고 칭하며, 태양을 숭상하였습니다. 기록이 남아있는 고구려, 백제, 신라도 그렇고 그 이전이 배달국, 고조선도 그러하였습니다. 삼국시대 백제, 신라의 영향을 받은 일본도 그러합니다. 국기만 봐도 알 수 있죠. 그리하여 하늘의 자손이고 하늘의 선택을 받은 왕 또는 영웅의 경우 태양과 같은 둥글고 빛나는 것으로부터 나왔다는 설화가 형성되어 그 신성함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문학 작품 중에서 글자 수가 가장 많은 문학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글자수가 가장 많은 문학 장르는 소설입니다 그 소설 중 가장 긴 작품들이 대하소설들로 여러권으로 발간되어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하소설 중에서는 박경리의 토지가 20권으로 가장 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설화 중 근원설화는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근원설화라 함은 여러 장르의 문학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던 설화를 말합니다. 춘향전의 근원설화는 도미설화, 염정설화, 암행어사 설화 등이 있고, 심청전의 근원설화는 효녀지은설화, 개안설화, 인신공희설화 등이 있고, 옹고집전의 근원설화는 장자못설화 등문학작품의 이전에 유사한 내용의 구전되어오던 전설, 신화 등을 말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사설시조의 길이는 어느정도로 길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단형 시조 형식에서 벗어나 두 행 이상이 6음보 이상이며 어느 한 행이 8음보 이상 늘어난 것부터 사설시조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약 400여 수의 사설시조가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사설시조는 정철의 관동별곡인데, 이는 수십 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검색엔진에서 정철을 관동별곡 원문을 검색해보시면 그 웅장한 작품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정약용은 주로 어떤 작품들을 지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정약용은 유배지에서 시를 많이 지었다고 합니다. 출간된 서적이 있기에 가져와봤습니다. 1. 지녔던 포부를 애석해 하며 / 惜志賦2. 귀양가는 장인 ‘홍화보’를 전송하며3. 귀양가는 ‘이익운’을 전송하며4. 관직에서 파면되어 / 罷官5. ‘황덕정’이 은거하는 마을에서6. 세찬 바람 / 苦風7. 홀로 앉아 / 獨坐8. 담배 / 煙9. 번민을 달래며 / 遣悶10. 우울증 / 愁11. 흥을 풀어내며 / 遣興12. 귀양살이의 여덟 가지 취미생활 / 遷居八趣13. 장맛비에 한숨 지며 / 苦雨歎14. 한탄스럽네 / 有歎15. 칡을 캐네 / 采葛16. 닭무덤 / 酉山17. 동쪽 문 / 東門18. ‘미원’에 사는 은둔자의 노래 / 薇源隱士歌19. 맏형이 ‘두보’를 차운한 시에 삼가 화답하다 / 奉和伯氏次杜韻20. 자식들에게 부치네 / 寄兒21. 밤에 일어나 앉아 / 夜起22. 홀로 서서 / 獨立23. 저녁 무렵 맑음 / 晩晴24. 다시 흐림 / 復陰25. 흰머리 / 白髮26. 가을밤에 홀로 앉아 / 秋夜獨坐27. 가을날에 형을 그리며 / 秋日憶舍兄28. 흰구름 / 白雲29. 옥중에서 ‘소동파’의 ‘서대시’ 운율에 화답하다 / 獄中和東坡西臺詩韻30. 야밤에 ‘동작나루’를 건너며 / 夜過銅雀渡31. ‘율정’에서의 이별 / 栗亭別32. 여행자의 회한을 기록하네 / 客中書懷33. 새해에 집에서 온 편지를 받고서 / 新年得家書34. ‘소동파’가 ‘자유’의 수척함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네 / 和東坡聞子由瘦35. 늦봄에 홀로 앉아서 / 晩春獨坐36. 혼자 웃네 / 獨笑37. 근심이 찾아 오네 / 憂來38. 근심을 떠나 보내며 / 遣憂[출처 - 다산 정약용의 귀양살이 시문학, 유배 시집 / 정약용 지음 / 탁양현 옮김]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