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7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작가 중에 추리소설로 유명한 작가분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한국은 추리소설이 그다지 인기가 없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많은 추리소설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1910년 을 발표한 이해조1930년대 김내성 , 서동산(채만식) 1970년대 김성종 1990년대 이수광 2000년대 이후 도진기 , 윤자영 , 정해연 , 박하익 , 김재희 등이 있습니다.더 많지만 검색하면 나오는 작가 위주로 나열하였습니다.
17일 전 작성 됨
Q.
1인칭시점의 소설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1인칭 시점 소설의 특징은 자신의 눈으로 소설의 서사를 이끌어나가기 때문에 독자로 하여금 흡사 주인공이 자신인 것처럼 인지하게 하여 서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입하게끔 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인칭 시점에는 주인공 시점과 관찰자 시점이 있는데 전자는 인물의 내면과 경험에 초첨을 맞추고 있는 것이고 후자는 작품 내부의 인물이 주인공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며 서사를 이끌어나가는 것입니다. 그것이 대세는 아니고 소설 속 주인공의 감정이나 외적인 행동을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쓰여집니다. 주인공시점의 경우는 주인공의 내면, 감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하고, 관찰자 시점은 행동이나 주변 상황을 보는 것이므로 주인공의 감정이나 생각,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17일 전 작성 됨
Q.
일본 대표 소설가인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어떤 성향의 작품을 썼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196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입니다. 1926년 '이즈의 무희'를 발표해 작가적 명성을 얻었으며, 단편집 을 출간하여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걷게 됩니다. 한동안 서양문학의 영향을 받아 각종 실험적인 문학을 발표하였었으나 결국 일본적인 것으로 돌아와 일본적이라면 무엇이든 위대하고 좋은 것으로 찬미하는 성향을 보였습니다. 그의 일본적인 것의 최고 정점이자 대표소설은 입니다.그는 섬세한 미의식과 감각적인 문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소설이지만 시적인 느낌을 많이 주는 작가였습니다. 그의 사상이자 분위기는 허무주의에 가까웠고, 그는 자살하였는데 일본 문단에서는 그의 죽음을 '허무의 끝에 도전한 표현의로서의 자살'이라든지 '죽음으로 작품을 완결시켰다'라든지 미화하였습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문단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끊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단의 전환은 내용의 전환입니다. 단순하게 길이를 생각하여 문단을 끊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문단이 너무 길어지는 것으로 느껴진다면 그것은 글을 쓸 때 좀더 간략하고 명료하게 짧은 문장으로 표현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필요하다면 문단의 길이를 줄의 수를 정해두고 그 줄의 수에 맞추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벗어나지 않게 쓰는 훈련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간혹 글을 쓰시는 분들이 간략한 문장이 아닌 수식 어구와 접속사를 이어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길어지는 것이니 좀더 간략한 문장으로 표현하되 문단 줄 수를 한정해서 써보면 나아질 것이라 판단됩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AI소설로 인해 소설가들의 업계는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현재로서는 단순히 AI가 창작한 작품들에 대해 작품으로서의 인정을 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품들의 수준은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드는 것이므로 어쩌면 그 내용이나 표현기법들에 대해 차용하는 것이므로 작가의 창의성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향후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AI를 활용하여 작품의 기틀을 대부분 세우고 거기에 작가가 보완하고 자신의 추가적인 특징을 가미시킴으로써 자신의 작품으로 출간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AI로 인해 작가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을 활용하여 좀더 쉽게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