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결과 중시 과정 중시 어떠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좋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아주 어려운 문제이긴 합니다만 저의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현실적으로 결과 중시 쪽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싶습니다. 과정이라는 것은 결국에는 목표한 결과를 내기 위한 여정입니다. 그 과정 속에는 실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랬을 경우 실패 속에서 문제점을 찾고 보완하고 발전하여 다시 도전하고 결국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어야만 그 과정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이 다른 분들은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습니다. '나는 정말 열심히 했고 도전했지만, 실패했어. 그렇다고 과정까지 아무 의미 없는 것은 아니잖아?' 맞습니다.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은 가치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실패했더라도 위로도 받고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 과정의 목표가 '실패'였는지 이루고자 했던 어떤 것의 '성공'이었는지는 냉정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그래서 저의 생각은 그러합니다. 과정은 존중 받아야 하고 가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과정의 이유는 어떠한 것의 '성공'입니다. 성공하지 못한 과정이 무가치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성공'이라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실패라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성장합니다. 그렇게 성장함으로써 다시금 같은 목표에 도전하던가 아니면 또 다른 목표에 도전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됩니다. 그것을 통해 또 성공이나 실패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것이 가정이든, 학교든, 사회든 크게 다른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성공의 결과를 위해 과정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하라는 이야기냐!' 하고 극단적인 의견을 주는 이들도 있습니다. 모든 것은 Rule이 있기에 거기에 벗어나는 과정은 인정받지 못하고 심지어는 법적인 처벌을 받는 것이 우리네 법치주의 사회의 근본입니다. (최근 정치인들, 기업인들이 이런 근본을 어기니 사람들의 불신이 쌓이는 것이겠죠TT)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라는 것은 참으로 가혹합니다. '과정 vs 결과'는 잘못된 대립입니다. 과정을 통한 결과가 있기에 둘은 항상 하나여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이가 모든 것을 성공을 결과를 누릴 수 없습니다. 그것은 실패한 과정을 통해 성장함으로써 성공의 결과에 좀더 가까워 질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저는 어떤 분야이든 성공한 사람들을 존경합니다. 그들도 실패라는 과정도 겪어온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들도 실패했지만 스스로나 주변에서 그 과정을 존중하고 가치있다고 생각하였기에 계속 노력하여 결국은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과정보다는 결과가 더 중요하다는 이분법적 가치 판단에 대해 한쪽 손을 들기는 했지만 그것은 과정도 존중하나 결과적으로 성공한 이들을 존경하는 입장에서 더 비중을 둔 것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은 '과정 & 결과'여야 합니다. 결과가 '실패'여도 가치가 있지만 '성공'인 경우 더 인정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둘이 모두 가치있게 인정받고 그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성공한 이들의 현재를 존경하고 존중하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봅니다.
Q. 최근에 검열 논란이 일어난 동화책의 주요 내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최근 미국에서 A 'great shock’, 큰 충격이라는 말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가 유명 배우이자 작가인 줄리앤 무어의 동화책을 검열하였다고 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줄리앤 무어는 최근 군인 자녀 등이 다니는 학교에서 자신의 책이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금지됐단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합니다. 그 책의 제목은 'Freckleface Strawberry'라는 동화책으로 '주근깨 얼굴 딸기' 라는 제목인데 주근깨 있는 자신의 외모를 싫어하던 소녀가 결국 있는 그대로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이유를 묻자 미국 국방부는 '성별 이념이나 차별적 평등 이념 주제와 잠재적으로 관련된' 도서들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줄리앤 무어는 '이 책의 내용은 우리 모두 어려움을 겪지만, 우리는 인류애와 공동체로 하나 되어 있단 사실을 어린이들에게 말해주고자 쓴 책일 뿐...'이라고 전했다고 합니다.
Q. 소설을 쓰고 싶은데 문장력 향상을 위한 독서법이나 작문 연습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우선은 많은 책을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 그 책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문체, 표현법 등을 갖춘 책을 필사해 봅니다. 그 다음으로 서점에 나와있는 글쓰기 책을 한권 사서 탐독합니다. 최종적으로 짧은 글부터 시작해서 매일 쓰고 퇴고하고를 반복합니다. 이것은 먼저 책을 많이 읽어 기본 문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사전 준비를 거쳐, 가장 좋아하는 작가의 글을 모방하여 쓰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 이후 시, 소설, 논문 등 글을 쓰는데는 작법이 있는데 그것을 잘 정리한 책을 한 권 정독하여 익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그간 쌓인 배경지식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글을 써가며 실력을 쌓는 과정입니다. 간혹 누군가를 모방하여 따라하다보면 창의성이 없어진다고 걱정하실 수도 있는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했습니다. 많은 예술가들이 처음 시작은 누군가에게 감명받아 그처럼 되고자 노력하면서 자기만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좋은 글 많이 쓰시기를 바랍니다.
Q. 문학이나 소설을 분류할 때에 장편과 단편으로 나뉘는데 어떤 기준으로 이렇게 나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의 분류 중 장편, 중편, 단편, 엽편은 페이지 & 글자수로 분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장편은 원고지 300매 이상 60,000자 이상중편은 원고지 100매 ~ 200매 내외 20,000자 ~ 50,000자 단편은 원고지 50매 ~ 70매 내외 10,000자 ~ 20,000자엽편은 원고지 4매 ~ 20매 내외 10,000자 미만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해당 분류는 내용적으로도 차이가 있습니다. 장편은 복잡한 서사와 다양한 인물군 / 역사, 시대, 사회적 배경 묘사 / 서브 플롯이 有중편은 인물과 시간이 단편보다는 풍부 / 갈등 전개, 변화 가능 단편은 인물과 사건이 제한적 / 한 가지 주제에 집중 / 짧은 시간과 공간엽편은 단편보다 더 짧은 소설로 더 제한적이어 하나의 장면 속 이야기를 한편의 소설로 펴낸 꽁트와 같은 짧음
Q. 유투브에서 이제 ai로 만든 영상은 수익화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럼 ai로 만든 영상등을 걸러내서 수익을 못하도록한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쇼츠 등 AI로 주제와 형식을 주어 만들어서 손쉽게 업로드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에 각 영상들에 대해서 7/15부터 인간적인 개입이 들어간 정상적인 컨텐츠만 인정하겠다는 말입니다. AI를 도구로 사용하되 사람의 기여와 창의성이 들어가야 합니다. 따라서 AI의 목소리로 해설, 분석, 뉴스 읽어주는 등은 불가하고 실제 사람의 목소리, 해석, 분석, 리액션과 같은 인간적인 개입이 들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워낙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가짜 영상들이 만들어져서 배포되니 유튜브에서 환경 정화작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