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다빈치코드와 렌르샤토의 실화가 연결성이 있다는데 어떤방식으로 연결된 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우선 다빈치코드의 이야기 전개에 기틀이 기존 '렌 르 샤토' 이야기에서 착안을 했다 볼 수 있습니다. '렌 르 샤토'는 프랑스 남부 지역의 이름입니다. 여기에 1885년 부임한 신부의 이름이 베랑제 소니에르입니다. 다빈치코드의 르브루 박물관장의 극중 이름이 자크 소니에르입니다. 벌써 비슷하죠. 이 베랑제 소니에르 신부는 교회 건물을 수리하던 중 오래된 제단석 기둥에서 양피지 하나를 발견하는데 이것에 여러가지 암호 같은 것이 적혀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실에서도 1975년 파리국립도서관은 기밀문서로 알려진 양피지들을 발견하였는데 거기에는 뉴턴, 보티첼리, 빅토르 위고,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포함된 시온수도회원들의 이름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다빈치코드에서도 죽은 소니에르를 조사하던 중 그가 남긴 암호를 해독하니 소니에르가 시온수도회의 그랜드 마스터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과거 시온수도회 일원이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의 그림 속에 비밀을 숨겨두었다는 것을 알아내고 그것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것이 다빈치코드의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소니에르, 시온수도회,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 이야기의 흐름이 '렌 르 샤토' 이야기와 얽혀있다는 이야기죠. '렌 르 샤토의 보물'이라는 말은 베랑제 소니에르가 알 수 없는 이유로 부유해지자 그 암호를 풀어 숨겨져있던 보물을 발견하여 부자가 되었다는 풍문이 돌아 나온 말인데 정확하게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태피스트리'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태피스트리는 직물공예에서 쓰는 말로 염색된 실을 이용하여 모양을 짜 나가는 방식을 말합니다.이것은 두가지의 뜻으로 사용되는데 하나는 직기(loom)를 이용해 씨실과 날실을 엮어 만든 직물 작품이고, 다른 하나의 의미는 풍경화, 인물화, 정물화 등 그림이 들어간 작품을 뜻하기도 합니다.오늘날의 태피스트리는 첫번째의 것을 말하고 옛날 태피스트리 작품 중에는 두번째의 작품들이 대부분입니다.최근에는 그 의미가 굿즈 등에 적용되면서 약간 변화하여 벽걸이 형태의 포스터나 브로마이드도 그렇게 부르곤 합니다.문학, 드라마, 영화 등에서도 사건이나 인물의 관계 등의 복잡하게 엮여있는 경우도 이 말을 쓰기도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공공도서관에 일하는것은 꼭 국문학과를 나와야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국문학과를 나오지 않더라도 관심이 있어 사서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더 취업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서는 문헌정보전문가이므로 도서관 근무에는 국문학과가 낫지 않을까 생각될 수도 있지만 국문학과는 국문학을 공부하는 것이지 책에 관련된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도서관에서도 여러가지 업무가 있겠지만 사서로서 일을 한다면 사서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좋을 것이고, 도서관 다른 업무를 담당한다면 문헌정보학과(과거 도서관학과)가 더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미완성인데 결말이 문학적으로는 괜찮게 해석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도스토예프스키가 원래 작품을 장편 2부 이상으로 생각하고 집필하였으나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집필 후 사망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결말이 난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현재 남겨진 작품만으로 한편의 작품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이 작품만으로도 충격적인 영감과 영혼의 심연을 들여다보는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위대한 작가의 작품이 완성인지 미완성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남겨진 작품만으로 어떤 작가혼이 담겼는지를 더욱 가치있게 여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글에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랑 두음법칙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한국어 음절 종성(받침)에서 발음 가능한 자음을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로 제한하는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표기된 자음이 실제 발음에서 대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설명하며, 특히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와 결합할 때 적용됩니다꽃 위 > 꼬뒤밭 아래 > 바다래멋있다 > 머딛따 (머싯따)두음 법칙두음 법칙은 한국어에서 단어의 첫소리가 특정 조건에서 발음되는 규칙으로, 주로 한자어에 적용됩니다. 이 법칙은 발음의 일관성과 편리함을 위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ㄴ' 두음 법칙- 한자어의 '녀, 뇨, 뉴, 니'로 시작하는 단어는 'ㄴ'이 'ㅇ'으로 발음됩니다. (예) 녀자 > 여자, 닉명 > 익명, 년 > 연, 뉴대 > 유대'ㄹ' 두음 법칙- 한자어의 '랴, 려, 례, 료, 류, 리'로 시작하는 단어는 'ㄹ'이 'ㅇ'으로 발음됩니다.(예) 뉼법 > 율법, 력사 > 역사, 료리 > 요리다만 고유어, 외래어, 의존명사, 고유명사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본음 그대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것은 일부 예외적으로 두음법칙을 적용한 것을 고유명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최승호씨 시집에 나오는 다올씨가 대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최승호 시 등에 나오는 '다올 씨'는 특정 인물을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시 속의 눈사람이 자신의 몸이 '다올 씨'와 다름을 직관하고 그에 자신의 슬픔을 내비치는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올 씨'는 그것을 대수롭지 않게 받아 흘려버리는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올'이라는 말은 순우리말로 '하는 일마다 모든 복이 차다'라는 좋은 뜻이라고 합니다. 긍정적인 에너지와 행운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최승호 작가는 이러한 상징적인 인물로 시 속에 '다올 씨'를 눈사람과 마주하게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보수 원로 조갑제씨의 한자교육 강화는 문해력과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은 과거 한자문화권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도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단어는 한자어음입니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표음문자이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문자가 우리가 발음하는대로 한글로 모두 표기될 수 있기에 자칫 한글만 알면 되지 굳이 한자어를 알아야 하나라고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우리 책, 방송, 사람들 간의 대화 속에서 사용하는 많은 단어들이 한자어이므로 한자를 잘 알고 있는 것은 문해력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화분(꽃을 심어 기르는 그릇), 전화기(말을 전기나 전류로 바꾸어 다시 말소리로 변환시켜 원거리 대화하는 기계), 악수(한손을 마주내어 잡는 일, 인사), 선물(상대에게 정이나 인사로 물건을 주거나 준 물건), 조식, 중식, 석식(아침, 점심, 저녁식사), 숙박(일정한 곳에 잠을 자고 머무름), 전쟁(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보수, 진보 (보전하여 지킴, 사회변화나 발전을 추구), 정치(나라 등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 등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한자어가 우리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의 것이니 순우리말로 바꿔야 한다가 아니라 정말 오랜 역사 속에서 서로 교류하면서 국가간 소통을 위해 고착화된 것이므로 우리 역사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한자어만 사용하는 현학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말 중에는 한자어가 많기에 한자어를 공부하는 것은 문해력 및 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그것에서 발전하여 그에 맞는 순우리말도 함께 공부하여 점차적으로 바꾸어 나갈 수 있는 것은 그렇게 해나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나라의 언어가 다르듯이 수화는 나라별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수화는 국가별도 다릅니다. 심지어는 지역별로도 다르기도 합니다. 반대로 마다가스카르의 말라가시어와 노르웨이어는 완전 다른 언어인데 노르웨이 선교사가 마다가스카르 수화의 개발에 참여한 까닭에 두 나라의 수화가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통하기 위해 국제수화가 만들어져 있으나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고, 기존 각 국가나 지역의 수화를 통일하기 위함이 아니라 국제적 환경에서 농인들의 소통을 돕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쇠뿔도 단김에 빼라 풀이 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쇠뿔은 아시다시피 소의 뿔입니다. 단김이라는 단어에서 '단'은 달구다(뜨겁게 하다)의 뜻입니다. '김'이라는 것은 '기회에', '순간에'라는 뜻입니다. 전통적으로 소의 뿔을 제거할 때 뜨겁게 달군어 말랑해졌을 때 바로 빼내야 조금더 손쉽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관용적인 어구로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생겼고, 이것의 뜻은 '무슨 일이든 적절한 시기에 망설이지 말고 바로 실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번역문학의 인기증가가 국내 출판계에 미친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번역문학의 인기는 지금 대두된 것이 아니라 1895년 선교사 게일이 영국 소설 The Pilgrim's Progress를 번역한 과 우리나라 번역문학의 시초인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현재 서점가에서 대부분 스테디셀러도 그러합니다. 최근 한강 작가를 필두로 국내 작가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작가로 우뚝섰음에도 그들을 제외한 나머지는 외면받고 있는 실정입니다.하지만 긍정적인 점은 이러한 외국문학의 유행이 우리 문학의 수준을 상향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적 가치관을 담을 작가들이 세계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