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미술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세계 4대 문명 중에서 가장 발달한 문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대 문명 중 어느 문명이 더 발달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일단 기원과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이 메소포타미아 문명입니다.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을 배경으로 관개농업과 도시가 발달했지요. 이 문명은 개방적 지헝으로 이민족들의 침입으로 잦은 정치교체가 이루어졌습니다.반면 이집트 문명은 나일강을 배경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바다와 강 등으로 상대적으로 폐쇄적 지형이 있어 안정적인 문명을 지속하여 오랜 기간 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습니다.인더스 문명은 인더스강 유역을 배경으로 나타난 문명이고 나중에 아리아인이 침입해 드라비다족을 정복해 카스트제도가 특징이었습니다. 황하문명과 양쯔강문명은 선후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갑골문자와 벼농사를 걱기 특징으로 하지요.우열보다는 각기 지역의 문화발달의 기초라고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역사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영국은 아직도 계급제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족이 남아있기는 합니다. 신분제가 폐지되고 부르주아 시민혁명이 두차례 일어났지요. 청교도혁명과 명예혁명을 통해 영국은 국왕전제에서 의회가 점차 권력을 갖는 의원내각제가 성립하였습니다. 국왕은 군림하되 통치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영국의 오랜 전통입니다.그라나 작위제가 남아있습니다. 작위제는 중세유럽의 기사들의 서열을 나누어놓은 것인데요. 이들이 귀족의 기원이지요. 작위제는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으로 5단계이고 공작이 가장 놉지요. 공작 위에 왕이 있는 단계로 보시면 됩니다. 프랑스는 시민혁명으로 왕을 단두대에서 처형하여 이런 중세전통이 옅어진 반면 영국은 명예헉명으로 부드러운 권력이양이 이루어졌으며 작위제가 어느 정도 유지되었던 것입니다.현대에 와서 그 의미는 많이 약해졌지만 귀족들이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며 전쟁 등에 솔선수범하여 참전하는 등의 역할로 전통으로 남아있다고 보여집니다.
역사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미국이 베트남전에서 앞도적인 전력차에도 불구하고 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트콩을 이끈 호치민은 이미 프랑스와의 독립전쟁에서 활약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호치민은 정면으로 싸우면 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철저히 게릴라전으로 미군을 상대핬죠. 전트에서 이긴 것 같지만 또 게릴라전으로 흔들리기 일쑤였습니다.베트콩은 또 밀림과 산악지형을 잘이용했습니다. 미군은 거꾸로 막대한 화력을 쏟아붇고도 땅굴 속에서 끝없이 나오는 벹콩에 고전했습니다. 남베트남은 더구나 무능하고 부패했습니다. 무기를 지원하면 부패한 남베트남의 관리들을 통해 베트콩에 넘어갔습니다.베트콩은 베트남인민의 지지를 받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베트콩과 베트남인민의 구별이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여자나 아이가 폭탄테러를 감행하곤 했습니다.중공이나 사회주의권 나라들의 지원으로 베트콩은 장기전을 할 수 있었지만, 미국은 반전여론이나 갈수록 쌓이는 막대한 재정투입이 부담스러웠구요. 전쟁의 명분도 약했습니다.이런 것들이 결합되어 미국이 참전해 최초로 패배한 전쟁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서양에는 고인돌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유물입니다.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일본, 한반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한반도에 전세계 고인돌의 40퍼센트가 분포하고 있으니 고인돌의 나라라고 불릴만 하지요.청동기 시대에 농업생산력이 발전하고 벼농사도 지어졌습니다. 잉여생산이 생기고 인류최초의 금속제 무기의 등장 즉 청동무기가 사용되면서 정복활동이 활발해졌습니다. 그리하여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지배계급의 무덤이 고인돌입니다. 고인돌은 수톤에서 수십톤의 무게가 있어 많은 노동력을 부리지 못하면 만들 수 없습니다. 주로 한반도 북부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많은데 이는 고조선의 대표적 문화입니다.
미술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인도에서 불교의 종파가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로 나눠진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처의 가르침에 두가지 측면이 다 담겨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중생구제라는 사회성이 강한 부분과 개인적 해탈과 깨달음이란 개인성이 강한 부분 둘다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대승불교는 인도에서 육로로 중국으로 전파되어 주로 대승불교가 발달했습니다. 반면 인도에서 바닷길로 동남아시아로도 불교가 전파되었는데 여기서는 소승불교가 주로 발달했지요.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중국을 통해 불교를 수용했기에 주로 대승불교가 발달하게 되었지요.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