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려시대 지눌이 왜 불교계를 비판하고 결사를 창립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불교는 5교 9산이라 하여 교종과 선종이 유행했는데, 신라후기부터 호족과 연계된 선종이 유행했습니다. 그러다 고려가 개창되고 고려 역시 불교를 진흥하였습니다. 대각국사 의천은 천태종을 창시하며 교선통합을 이루려 하였는데, 종단 통합의 한계로 의천 사후 불교계는 또 분열됩니다. 고려 후기로 갈수록 불교는 왕실이나 귀족, 혹은 무신들과 연계되어 후원을 받으며 세속화하게 됩니다. 불교사찰 자체가 대농장을 소유하며, 대지주가 되어 농민을 수탈하고, 또 술이나 각종 수공업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일종의 대상인 역할도 하게 됩니다. 이런 불교계의 세속화와 타락을 비판하며 지눌이 결사운동을 하게 됩니다.사실 지눌 역시 최씨 무신정권의 지원을 받았지만, 지눌의 불교계의 정화 뿐 아니라 교선의 통합을 놀라울 정도로 수준높게 이루어내었습니다. 정혜쌍수에 그 핵심이 있습니다. 지눌은 또한 조계종을 창시하며 오늘날 불교계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Q. 조선 정조 때 문학이나 학문이 발전하게 된 이유?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큰 충격과 상처를 받았습니다. 끊임없이 인내해야했으며,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훌륭한 왕이 되기 위한 자질과 능력을 키워내야만 했습니다. 그 결과 정조는 뛰어난 신하들과의 논쟁을 앞도할 수 있었으며, 규장각이라는 학술정치기구를 만들어 집현전과 비슷하게 학문을 연구하며 자신의 개혁을 뒷받침하게 하였습니다. 서얼이라고 차별하지 않고 등용했는데, 이덕무가 대표적입니다. 규장각에서는 정약용이 대표적인 인물입니다.그 결과 문화가 꽃피고 학문이 무르익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Q. 양반들은 일부 다처제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바뀌게 된 계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첩을 둔 양반이 많았지만, 서민의 경우 경제력과 사회적 형편으로 엄두도 못내는 상황이었습니다. 왕부터 후궁을 들이는 일이 자연스러웠던 시대였죠. 사실 사회 상층의 축첩은 그 후에도 오래 지속되다가 점점 사라지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물론 법적으로는 일부일처제이며, 그것이 강화된 것은 현대에 이르러서인데, 여성이 버려지고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었던 것이 사회문제였습니다. 그것이 여성도 경제활동에 참여하며 독립적 생계가 가능해지며 자연스럽게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Q. 이황과 이이의 성리학의 견해가 서로 달랐다고하던데 그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황과 이이는 성리학을 크게 발전시킨 인물입니다. 이황은 주리론 계열이고 좀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성학집도를 지어 군주도 군자가 되어야한다는 성학군주론에 가깝습니다. 이황의 학파는 동인, 그중에서도 남인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황은50세가 넘어 학문의 꽃을 피웠습니다. 그에 반해 이이는 일찍부터 원숙한 학문적 수준을 보여주었고, 주기론에 가까우며 현실개혁에 집중하였습니다. 성학집요를 지어 군주가 갖추어야할 요점을 정리했고, 선조가 이이의 당파에 들고싶다는 말을 할 정도로 총애받았습니다. 동서분당때 동인이 너무 우세하니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서인쪽의 입장을 세웠습니다. 이이의 당파가 결국 주류가 되고 노론에 뿌리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