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불교 유적이 유난히 많습니다 최초 불교 전파자는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유사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신라 순으로 최초로 불교가 전래되는데요, 이는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전래되었기 때문입니다. 고구려가 중국에 가장 가깝고, 백제는 서해를 통해 중국과 교류가 용이하나, 신라는 내륙에 있어 고구려나 백제를 통하지 않으면 어려웠는데요. 실제 신라는 고구려승 아도화상으로부터 불교를전래받고 불교공인도 진흥왕대 상당히 늦은 편이지요. 고구러는 순도, 백제는 마라난타가 최초 전래자로 알려져 있으며,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백제는 침류왕 때 불교를 비교적 일찍 공인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통일에 큰 기여를 한 화랑은 어떤 조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의 화랑은 윈시씨족사회의 전통을 계승한 청소년조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랑은 씨족사회의 평등성을 보유한 집단 수련 조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삼아 삼국항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역할이 컸습니다. 평등성이 존재하나 국선부터 낭도까지 위계조직의 성격이 있어 집단으로 명산을 찾아 심신을 수련하다 국가가 위기에 닥쳤을 때 전위부대로 활약한 면모도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공자와 정약용은 유교 사상가인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자와 맹자의 주장과 사상이 유학이라는 학문이자 생활종교가 나타난 것입니다. 유학에도 다양한 학문이 있는데 시대적으로 훈고학, 성리학, 고증학 등이 유행했습니다. 훈고학은 공맹의 경전의 자구해석에 집중했던 데 반해 성리학은 주희가 이기론을 도입하여 보다 철학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조선은 이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이고 난해한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들이 만든 나라이고, 이 성리학으로 나라를 운영해갔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사회모순이 심화되고, 통치의 기본이라할 신분질서가 와해되어가고, 각종 수취제도의 모순과 부패가 심화되는 현실을 이 철학적인 성리학 즉 인간의 본성과 우주의 이치를 가지고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이 일어납니다. 그것이 실학이고,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이 대표적입니다. 처음 사상을 주창할 때는 비교적 자유로움이 있을 것이고,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곳에서도 일종의 다름을 추구하는 속에서 개방성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공자와 다산이 공통점이 있을 수 있으나 시대로보나 처한 당대의 현실로 보나 상이한 점이 좀더 두드러진다고 하겠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화장실 분뇨는 어떻게 처리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근대 시기 분뇨는 오물이긴 하지만 농사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기에 그냥 버리지 않았습니다. 저 어렸을 때만 해도 분뇨를 수거하먼서 사가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농사퇴비로 오늘날과 같이 화학비료가 없었기에 동물의 배설물과 인분은 비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부뚜막 불때고 남은 재와 인분을 섞고 쌀겨, 볏집, 콩깐것 등을 섞으면 토양의 토질을 개선하는 비료로 잘 활용되었습니다. 전근대 시기 토양이 지력을 회복하지 못하면 매해 농사짓기가 어려워, 해걸이를 해야하는데, 이렇게 퇴비를 쓰면 매해 농사지어 소출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광종이 과거제도를 채택한 이유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그렇습니다. 지방에 세력을 갖고 있고 중앙에 진출한 호족을 건제하기 위해 유학을 익힌 신진관료가 필요했습니다. 이 관료들은 지방 세력도 없을 것이고 왕명에 충실햐 지지기반이 될테니까요. 귀화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이고, 중국 제도를 수용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관련 이순신 장군님은 정확히 어떤 전쟁에서 전사하신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했을 것이라 추정이 됩니다만, 전투 중 전사한 것인지, 전투 중 부상으로 인해 돌아가신 것인지 명확치는 않습니다. 다만 노량해전 이후에 조정에 이순신 장군의 전사가 알려져 추증하고 현충사를 짓게 된 것은 확실합니다. 따라서 그사이에 전사한 것은 확실하지만, 정확히 언제 돌아가신지는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사교육이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공교육보다 사교육이 더 일반적이었습니다. 고려시대는 더 정도가 심했습니다. 서당, 향교, 성균관이 오늘날 각각 초, 중, 고나 대학교에 해당할 것인데 인원이 많지 않았고 숫자도 적었습니다. 성균관은 하나이고 입학생도 시험을 통과해야했으며, 학생수도 많지 않았습니다.그래서 글공부나 자식 교육에 관심있는 양반들은 유명 선생을 찾아 사교육을 받는 것이 흔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선조들은 머리칼 뿐 아니라 수염과 손,발톱도 안 잘랐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은 자르지 않고 계속 길렀지만, 손발톱은 생활상 위생상 잘라야했습니다. 어쩔 수 없는 노릇이지요. 소중하더라도 생활은 해야하니까요. 마찬가지로 수염도 무작정 계속 기르는 것이 아니라 면도는 하지 않지만 가지런히 정리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후세계는 정말 존재 하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후세계를 객관적으로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면 획기적인 일이 될 것이고 아마도 많은 종교와 철학이 사라질 가능성이 클 것입니다. 종교는 결국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영생 혹은 사후세계로 완화하려는 시도라고 볼 때 사후세계를 입증할 수 있다면 많은 종교가 허물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시를 읽다보면 은유법이 나오던데 은유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유는 메타포라고 하는데 A를 B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입니다. 사랑스러운 딸을 반짝반짝 빛나는 별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습니다. 내 마음은 호수란 싯구가 유명한데요. 격렬한 감정 상태를 내 마음은 힌남노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지요. 시는 응축된 시어로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은데요, 느낌가는 대로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시면 좀더 쉽게 다가가실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