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 불교 유적이 유난히 많습니다 최초 불교 전파자는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유사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신라 순으로 최초로 불교가 전래되는데요, 이는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전래되었기 때문입니다. 고구려가 중국에 가장 가깝고, 백제는 서해를 통해 중국과 교류가 용이하나, 신라는 내륙에 있어 고구려나 백제를 통하지 않으면 어려웠는데요. 실제 신라는 고구려승 아도화상으로부터 불교를전래받고 불교공인도 진흥왕대 상당히 늦은 편이지요. 고구러는 순도, 백제는 마라난타가 최초 전래자로 알려져 있으며,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백제는 침류왕 때 불교를 비교적 일찍 공인하였습니다.
Q. 공자와 정약용은 유교 사상가인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자와 맹자의 주장과 사상이 유학이라는 학문이자 생활종교가 나타난 것입니다. 유학에도 다양한 학문이 있는데 시대적으로 훈고학, 성리학, 고증학 등이 유행했습니다. 훈고학은 공맹의 경전의 자구해석에 집중했던 데 반해 성리학은 주희가 이기론을 도입하여 보다 철학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조선은 이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이고 난해한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들이 만든 나라이고, 이 성리학으로 나라를 운영해갔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사회모순이 심화되고, 통치의 기본이라할 신분질서가 와해되어가고, 각종 수취제도의 모순과 부패가 심화되는 현실을 이 철학적인 성리학 즉 인간의 본성과 우주의 이치를 가지고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이 일어납니다. 그것이 실학이고,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이 대표적입니다. 처음 사상을 주창할 때는 비교적 자유로움이 있을 것이고,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곳에서도 일종의 다름을 추구하는 속에서 개방성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공자와 다산이 공통점이 있을 수 있으나 시대로보나 처한 당대의 현실로 보나 상이한 점이 좀더 두드러진다고 하겠습니다.
Q. 조선시대 화장실 분뇨는 어떻게 처리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근대 시기 분뇨는 오물이긴 하지만 농사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기에 그냥 버리지 않았습니다. 저 어렸을 때만 해도 분뇨를 수거하먼서 사가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농사퇴비로 오늘날과 같이 화학비료가 없었기에 동물의 배설물과 인분은 비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부뚜막 불때고 남은 재와 인분을 섞고 쌀겨, 볏집, 콩깐것 등을 섞으면 토양의 토질을 개선하는 비료로 잘 활용되었습니다. 전근대 시기 토양이 지력을 회복하지 못하면 매해 농사짓기가 어려워, 해걸이를 해야하는데, 이렇게 퇴비를 쓰면 매해 농사지어 소출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