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공자와 정약용은 유교 사상가인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둘 다 유교 사상가여서 절충주의를 옹호한다고 배웠는데,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공통점도 추가적으로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와 맹자의 주장과 사상이 유학이라는 학문이자 생활종교가 나타난 것입니다. 유학에도 다양한 학문이 있는데 시대적으로 훈고학, 성리학, 고증학 등이 유행했습니다. 훈고학은 공맹의 경전의 자구해석에 집중했던 데 반해 성리학은 주희가 이기론을 도입하여 보다 철학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조선은 이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이고 난해한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들이 만든 나라이고, 이 성리학으로 나라를 운영해갔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사회모순이 심화되고, 통치의 기본이라할 신분질서가 와해되어가고, 각종 수취제도의 모순과 부패가 심화되는 현실을 이 철학적인 성리학 즉 인간의 본성과 우주의 이치를 가지고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이 일어납니다. 그것이 실학이고,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이 대표적입니다.
처음 사상을 주창할 때는 비교적 자유로움이 있을 것이고,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곳에서도 일종의 다름을 추구하는 속에서 개방성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공자와 다산이 공통점이 있을 수 있으나 시대로보나 처한 당대의 현실로 보나 상이한 점이 좀더 두드러진다고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와 정약용이 유학자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정약용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학을 중시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