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천주교와 기독교는 어떻게 다른걸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천주교와 개신교의 뿌리는 모두 그리스도교로 같습니다. 천주교는 중세에 하늘을 찌르는 권위, 권력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교회의 부패가 심화되어 이에 반발하는 개혁의 요구가 있었고 그것을 종교개혁이라고 하고, 종교개혁의 결과 새롭게 등장하고 인정받은 그리스도교를 신교, 개신교라고 합니다. 그 이전의 그리스도교를 이와 대비해 구교, 가톨릭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둘다 그리스도교이지만, 가톨릭은 성모 마리아를 중시하고, 교황청부터 작은 성당까지 위계조직이 명확한 특징이 있습니다. 교황, 추기경, 대주교, 주교, 사제 순으로 위계가 있지요. 개신교는 교파가 다양하지만, 목사님이 결혼도 가능하며, 작은 교회에서 비교적 자율적으로 종교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Q. 러일 전쟁시 일본이 러사아를 굴복시킨 이유가 궁금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본이 러시아를 이기고 러시아가 강화를 요청한 것은 사실이나, 여러 상황상 일본도 전쟁 수행에 어려움이 컸습니다. 러시아 내부에서 1905년 혁명이 일어나 국내 정세 수습의 필요성이 커졌고, 일본의 동맹국인 영국이 러시아 발틱함대의 흑해 통과를 방해해 우회하여 긴 장거리 운행을 해야했으며, 일본의 전력을 과소평가했던 측면도 있었습니다. 동해해전에서 발틱함대가 거의 전멸당하고 러시아는 미국의 중재로 강화조약을 맺게 되며, 한반도에서의 주도권을 일본에 빠앗기며, 이런 세력균형이 무너지며 우리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Q. 다양한 종교가 다양한 종교활동을 하는데 수용가능 문화 정신적인 기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개신교, 천주교 등이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고, 조선이 유교국가로서 종교적 기능을 어느 정도 하여 생활종교로서 자리잡은 측면이 있을 것입니다. 불교 또한 조선시대 때 탄압받아 위축되어 주도적 종교가 나타나지 않아 갈등을 흡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사회갈등이 이념, 지역, 정치로 강하게 나타나 종교는 사회통합적 기능을 수행한 현대사의 토대도 갈등을 방지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