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의 세뱃돈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대표적으로 부모입장에서 자녀에게 목돈이 들어갈 때는 자녀교육비(대학이상)와 자녀독립지원(결혼포함)이 있습니다. 기간이 충분히 많이 남았다면 자녀명의 연금저축과 같은 장기상품에 적립, 운용하여 복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연금저축의 경우 중도인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적립금에 대해서는 유동성이 생기고 과세이연 효과로 복리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목돈이 아니더라도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하다면 그에 맞는 스펙에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관리하면 됩니다. 즉 목표로 하는 금액, 시기를 구체화하면 효율적인 방법, 수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세뱃돈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앞서 왜 관리해야할까에 대해 먼저 고민해보시면 본인에게 맞는 답을 찾을 수 있겠습니다.
Q. 매월 저축할 금액은 어떻게 정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접근방법을 달리해보시길 바랍니다. 자산관리에서 공통의 프레임 중 하나는 구체적인 재무목표가 있고, 방법보다 우선한다는 점입니다. 구체적이라는 것은 목표에 대한 기간, 금액, 수단입니다. 그러면 매월 저축할 금액이 계산이 됩니다. 계산된 저축금액이 비현실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목표를 소득과 지출을 고려하여 수정, 저축금액을 정하시길 바랍니다.
Q. 돈을 아껴쓰고 싶은데요.. 쉽지가 않네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질문에서 처럼 돈을 잘 모으는 데 우선은 소득창출과 불필요한 지출을 제거하는 현금흐름 관리입니다.의지, 절제는 소모성 자원입니다. 지출을 억지로 참고 돈을 모으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가능할지 모르나 장기적인 유의미한 개선으로 이어지기 쉽지 않습니다. 스스로 왜 개선해야 하는지 명확히 하시고, 의지가 필요치 않게 환경설정 하시길 바랍니다. 예를들면 지출 욕구가 발생하는 곳에 노출되지 않는다거나, 지출수단을 불편하게 바꾼다거나, 저축은 자동이체를 이용하는 등이 있겠습니다.
Q. 월세와 전세 어떤것이 부를 쌓는데 더 빠를까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부를 쌓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질문자님께서 하는 생각이 맞습니다. 기회비용을 최소화하는 선택을 하시는게 맞지만 투자를 할 때 경제상황, 부동산 경기, 각종 정책과 개인의 상황, 금리수준, 보유자산, 투자경험, 본인의 위험수용성향 등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누군가에겐 전세가 누군가에겐 월세가 유리할 수 있고, 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어느시기에는 전세가 어느시기에는 월세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많은 분들은 재무적 의사결정의 연속입니다.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Q. 개인회생신청 or 파산 신청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가족간이라 하더라도 과도한 부채를 함께 떠안다가는 다같이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집이 팔려 당장 부채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은퇴 후 주거문제, 은퇴생활비, 의료비 등 재무적인 문제는 연쇄적으로 들이 닥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채무자구제제도를 이용하시기 전에 공적제도와 사적제도 중 어느게 더 적합한지 상담받으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단순히 지금 문제를 해결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또 다시 반복되지 않는 선까지 금융교육도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부채상담은 신용회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지자체 금융복지상담센터를 방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