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젊은 부부 식대 및 한달 사용 금액은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확인하셔서 매월 생활비 예산을 파악하고 계획합니다. 참고로 매월 꼬박꼬박 나간다고 해서 고정지출이 아니라 임의로 조정이 불가능한지 가능한지 여부로 고정지출과 변동지출로 구분합니다.예산을 파악하고 생활하더라도 예기치 못한 지출이나 계절성 지출은 존재하기에 비상예비자금 관리는 필수입니다.소득-(고정지출+변동지출)=저축가능여력저축과 투자는 저축가능여력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양이 많고 적고는 각자가 생각하는 재무목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주위사람, 평균값, 중위값, 소득대비, 나이대비가 아닙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참고만 할뿐) 이때 재무목표 대비 저축 및 투자금액이 부족할 경우 지출관리는 반드시 필요해집니다. 그러니 우선 재무목표와 그에 따른 계획부터 점검해보신다면 식대나 저축금액 등에 대한 답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Q.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얼마 정도의 자산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 어떤 투자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성원준입니다.은퇴필요자금은 은퇴전소득 또는 지출 수준을 고려해서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부족자금이 없다면 투자는 선택의 문제가 될 수 있고, 부족하다면 투자는 더이상 선택이 아니게 됩니다. 연금외에는 실물자산을 연금화한다든가 월지급식 펀드, 임대사업소득, 이자나 배당소득 등이 있습니다.
Q. 보험 가입 전 알릴 의무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성원준입니다.보험계약의 특징 중 쌍무계약이 있습니다. 양측에 의무가 있다는건데요. 보험계약자는 계약 전 알릴의무, 정해진 날짜에 보험료 납입, 손해보험사 상품의 경우 계약 후 알릴의무 등이 있고, 보험회사는 피보험자가 약관에 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수익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어느 한쪽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상대도 그럴 수 있습니다. 즉 계약 전 알릴의무를 충실하게 이행하지 않는다 해도 보험계약은 가능합니다. 다만 보험금 지급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계약 전 알릴의무 질문에 나오지 않은 것까지 고지할 필요는 없지만 질문에 해당되는 내용은 충실하게 고지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