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잠을 잘 못 는데 잠을 푹 잘 수 있는 방있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수면의 양과 질을 향상 시키는 수면위생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1.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도록 합니다.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아침에 잠이 깨면 바로 일어나도록 합니다. 일어나서 밝은 빛을 쬐면 잠이 깨는 데 도움이 됩니다.2. 낮 시간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주로 햇빛이 비치는 시간대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산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취침 직전에는 너무 격렬한 운동을 피해야 하는데, 이는 운동 자체가 자극이 되어 잠들기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3. 커피나 홍차, 녹차, 핫초코, 콜라, 박카스 등 카페인이 든 음료 및 초콜릿 등을 피합니다.4. 낮잠은 자지 않습니다. 낮잠을 자게 되면 야간에 잠이 잘 오지 않게 됩니다.5. 저녁에 과식을 하지 않습니다. 과식 자체가 자극이 되어 잠들기 힘들어집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따뜻한 우유 한 잔 혹은 치즈 등을 먹는 것은 잠이 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6. 저녁 7시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담배를 피우면 정신적으로 흥분해서 잠들기 힘듭니다.7. 침대는 수면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침대에서 책을 보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것 등 다른 일을 하지 않습니다.8. 술은 숙면을 취할 수 없게 하여 잠자는 도중에 자주 깨어나게 하므로 마시지 않습니다.9. 잠자리에 누워 10분 정도가 지났는데도 잠이 오지 않으면 자리에서 일어나 다른 장소로 가서 독서를 하거나 라디오를 듣는 등 비교적 자극이 적은 일을 하다가, 잠이 오면 다시 잠자리에 가서 눕습니다.10. 잠자리에 들 때나 밤중에 깨어났을 때는 일부러 시계를 보지 않습니다. 시계를 보게 되면 잠을 자지 못한 것에 대해 걱정하게 되고, 걱정을 하게 되면 긴장이 되어 잠이 더 오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시계를 볼 수 있는 침실, 화장실, 거실에서 시계를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Q. 콜레스트롤이 높으면 몸의 어떤점이 안좋고, 어떻게 관리를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고지혈증의 임상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우연히 검진이나 혈액검사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지혈증으로 인한 임상증상이라면 고지혈증 관리가 되지 않고 다른 위험인자(고혈압, 당뇨, 흡연력, 가족력 등)를 동반하고 있다면 심뇌혈관의 질환(뇌졸증,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포화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과체중 환자의 경우 과잉의 열량을 감소시키고 운동량을 증가시킴으로 체중 감량 도모 해야하구요. 현재 식이 형태를 평가한 후 식이요법을 시작하여, 4-6주 및 3 개월 째 혈청 총 콜레스테롤을 검사하여 반응 유무를 살펴봐야 합니다. 대개 하루 40분 이상의 중등도 이상 유산소 운동을 주 4-5회 이상 시행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