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박인국 입니다.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박인국 입니다.

박인국 전문가
삼성서울연합의원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안녕하세요 ~몇칠 전부터 오른쪽 갈비뼈 밑이 아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간혹가다 연관통으로 담낭이나 담관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그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부위에 열감은 없으신가요??해당 갈비뼈 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지면 그러한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니 내과 진료를 한번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문제가 없다면 늑간신경이 눌려 통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장시간 엉덩이를 쭉 빼고 앉아 있다 갑자기 몸을 필경우 생깁니다. 일단 더 심함 통증이 생기기 전에 진료를 한번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교통사고 후유증에 재활치료가 도움이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네 도움이 됩니다.외국의 경우 트라우마로 인해 정신과 치료와 겸하여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트라우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말하기도 합니다.치료 방법은 긴장된 몸을 이완 시키는 것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도수치료나 재활치료 시 이완시키는 치료 방법으로 몸에 남은 외상성 후유증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줍니다.또 통증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된 관절의 움직임이나 근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재활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요즘 목이 너무 뻣뻣하고 딱딱하게 굳어있는데 풀 수 있는 방법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목에 과도하게 긴장이 되어있다는 것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첫번째로, 호흡근의 약화호흡에서 가장 중요한 근육인 횡격막의 기능저하와 체간의 호흡보조근의 기능저하로 인해가슴을 내밀거나 어깨를 으쓱여 어깨와 목 주변의 근육으로 호흡을 하게 되면 목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뻣뻣함과 어깨 통증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두번째로,체간의 안정적 움직임 저하체간은 사지의 움직임을 잘 할 수 있도록 안정화 작용을 합니다.우리가 잘 알고 있는 복부 근육이 너무 뻣뻣하거나 너무 늘어나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경추의 굴곡근을 복부 근육처럼 안정화 작용을 하는데 쓰이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목의 긴장도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세번째로,중력중심선에서의 부정렬두번째 이야기와 약간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중력중심선 상에서 정렬과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목 뿐만아니라 척추 전반적으로 긴장도가 증가되며 사지의 뻣뻣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어려가지 이유가 있지만 제가 치료해드렸던 분들의 가장 큰원인으로 생각되었던 부분을 적어보았습니다.이러한 부분은 스스로 자각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습니다.해당 사항에 해당되는지 셀프로 체크해볼 수있는 증상으로집중하고 있을 때 호흡을 참고 있는다.몰아쉬는 숨(한숨)을 나도 모르게 자주 쉰다.복식호흡이 어렵다.해결 방법으로는 자기전 호흡을 편안하게 들이쉬고 내쉬도록 한다.숨을 쉴 때는 하복부의 근긴장도나 텐션을 줄이기 위하여 무릎을 90도에 가깝게 세운다.숨은 100%들이쉬고 내쉬려고 하지 말자.70%정도만 들이쉬며 30%의 여유의 호흡을 납겨 놓고 들이쉰다.70%정도만 내쉬며 30%의 여유의 호흡을 납겨 놓고 내쉰다.평소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운동을 단 10분이라도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계단을 올라갈때마다 무릎이 아픈데 좋은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에 문제만은 아닌것으로 생각됩니다.발목과 고관절의 움직임이 감소되었거나하지에서 체중지지를 하지 못하는 상태이거나 이러한 복합적인 부분으로 인해 2~3차적으로 무릎에 통증이 증가된 상태로 생각됩니다.***********다른부위에서 통증이 먼저 시작되지는 않으셨는지 궁굼합니다.****************************한가지 더 내려오실 때는 통증이 없을까요?*********************일단 계단을 올라갈 때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뒷근육과 엉덩이 근육이 활성화 되어 안정화를 잡아주고 이후 무릎을 신전하는 근육이 활성화 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대퇴부 전면 근육의 과사용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불안정성으로 슬개골 압박력 증가와 십자인대와 측부인대의 스트레스 증가되어 움직임을 수행하기 힘든 상태에서계단을 오를 때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병원에서 문제점을 찾지 못하셨다면 물리치료사에게 도수치료를 받으시며 전반적인 체형과 움직임 평가를 한번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운동할 때 관절부분에서 뚜둑소리가 나면 하지 않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호흡 조절이 안되시거나속근육의 이완이나 주동근 길할근의 전환이 안되시거나 원심성 수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운동속도가 근육이 반응할 시간 없이 빠르게 운동을 하셔도 그러한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유연성이 감소되어도 그러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운동 후에 근육통이 있는 경우는 어떻게 풀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운동 후 통증이 있다면 어떤 종류인가에 따라유산소운동을 할지 스크트레칭을 할지약을 복용해야 할지 달라질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근육통이라면 운동강도 저절에 실패 하셔서 생기는 통증이라 생각됩니다. 적당한 휴식과 운동 강도 조절이 필요하며 유산소 운동이 뒷받침 되면 통증 조절 및 근력향상에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애기들 사경치료 관련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불균형으로 인해 측만증이나 다른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저희 셋째도 약간 사경이 있긴 했습니다만 심하지 않아 성장하면서 지켜 보고 있습니다. 현재 7살인데변형이나 불균형이 그렇게 심하지 않아 그냥 조금씩만 체형 유지할겸 만져주고 있는정도이구요. 사경이 심하면 지금부터라도 치료를 시작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어깨 결림과 피로도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피로도(수면, 컨디션 등..)와 관련이 있습니다. 피로한 상태에서는 통증을 더 느낄 수 있습니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피로한 상태(콘디션이 떨어진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오히려 통증과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어깨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혹시 목 등 허리와 같이 척추 분절에 통증이 있진 않으신가요?어깨를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으셨거나 어깨를 깔고 잠을 잔 후라던가직업적으로 팔을 많이 쓰는 직업이리던가어깨 통증을 일으킨 원인일 찾아보는 것이 우선인것 샅아 질문을 드려보았습니다. 어떤 일을 하시고 나서 통증이 생겼는지가 중요하며몸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는 아닌가 궁굼해서 의문점을 남겨 보았습니다. 일단 어깨톨증을 줄이시기 위해서는 손상으로 인한 염증 감소를위하여 약을 복용 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며이후 특정 움직임에서 통증이 생기는지휴식중에도 통증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염증감소 후 유착이 되어있는지 여부의 파악이 중요해 보입니다. 움직임을 할때만 통증이 있다면 10개의 근육중일부 근육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하게 되면 특정 동작이나 움직임을 할 때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휴식중에도 통증이 있다면 유착과 염증의 만성으로 넘어가는 중이라고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상처부위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매일 통증을 확인하고 유발 시키는 행위를 자주 하개 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억지로 올리려고 하지 마시고 점진적으로 증가 시캬 주시길 권해드리며 통증의 강도에 따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으니무조건 혼자 해결 하려 하지 마시고 도움을 받으시길 권해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허리 통증에 좋은 스트레칭이나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스트레칭 보다는 운동 강도를 낮추거나 휴식이 필요한 상태로 생각됩니다. 통증이 생겼다는 건 상처로 인한 염증 반응으로발생했다 볼수 있기 때문에 휴식이 필요해 보입니다. 어떤 운동을 얼마나(기간) 하셨는지 의문이 생깁니다. 신체 활동이 없던 상태에서 운동을 하시면 몸에 무리가와 통증이 생길 수 있기에 상태 파악이 중요하며우리나라에서는 스포츠도 운동기초 체력 운동도 운동으로 말을 하기 때문에 운동애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스포츠라는건 몸의 기능과 능력을 발휘해 포퍼먼스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하며기초 체력 운동은 이러한 스포츠 활동을 하기 위해몸의 내구력을 증가시키고 체력을 증진시켜몸에 기능적인 부분을 증가 시키는 것이라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를 하신 후 통증이라면 재활적인 면도 필요하다 생각 되며 이러한 부분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 됩니다. 답뱐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