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하늘에 뭉게 구름이 너무 예쁘던데 질문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구름의 다양한 모양은 수증기의 양 때문에 기온, 대기의 안정도, 바람, 고도, 수분 공급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름은 공기 속 수증기가 응결하며 생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집합체로서 수증기 자체는 보이지 않지만 응결되면 빛을 산란시키며 하얗고 뚜렷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됩니다.구름의 모양이 다른 이유는 대기의 불안정도(불안정한 공기일수록 공기가 위로 활발히 솟구치며 수직으로 크게 발달함), 수분의 양과 응결 높이(수분이 ㅁ낳고 공기 상승이 충분하게 되면 두꺼ㅃ고 밀도가 높은 구름을 형성),바람과바람의 영향(바람이 강한 지역에 구름이 길게 찢기거나 퍼지거나 깃철터럼 날리게 됨),상승기류의 방식, 시간과 진화 과정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Q. 해류는 어떻게 형성되고 왜 지구생태계에서 중요할까요?
해류는 대양 내에서 일어나는 장기적이고 방향성이 있는 수평적인 흐름으로서 바닷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흐름이며 해류는 크기에 따라 수천km 이상 장되며 대양 전체를 순환하게 됩니다. 해류의 형성은 여러 복합적으로 결정되는데 풍력, 지구 자전에 따른 편향력, 대륙과 해저 지형, 해수의 밀도 차이, 조석력과 기압의 차이 등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해류는 기후의 조절자역할을 하며, 영양분 순환과 생물의 다양성, 탄소의 순환과 기후변화, 지구 시스템의 연계성에 영향을 받게 되지요.
Q. 갯벌은 어떻게 형성되며 어떤 생태적 역할을 하나요?
갯벌은 밀물때 바닷물에 잠기게 되고 썰물 때 드러나는 해안의 평탄하고 넓은 진흙이나 모래의 퇴적 지형이며 주로 강의 하구, 만, 해안선이 완만한 지역에서 형성되게 됩니다. 갯벌은 지질,해양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만들어지게되며, 썰물때 해저가 넓게 드러나고 밀물때 다시 덮이게 되며 퇴적물이 고여 쌓이기 좋은 조건이 되게 됩니다. 파도게 세면 퇴적물이 흩어져 쌓이지 못하지만, 서해처럼 완만한 해안선과 섬들이 많은 지역은 파랑 에너지가 약해지며 미세 퇴적물이 잘 고정되고, 강이 운반해온 미세한 점토, 실트, 유기물등이 바다로 흘러오게 되며 갯벌을 쌓게 하지요. 조류에 의해 퇴적물이 천천피 퍼지게 되며 층층이 퇴적되어 넓고 평평한 갯벌 지형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갯벌은 단순한 진흙땅이 아닌 지구의 생산성 높은 생태계중 하나인데요. 갯지렁이, 칠게, 망둥어, 농게, 말뚝망둥어, 도요새,ㅊ ㅓㄹ새 등의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철새는 갯벌의 영양분을 많이 먹기 위해 매년 수만 km를 이동하면서 찾는 귀중한 중간 기착지이기도 합니다. 또한 갯벌 속의 미생물과 저서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정화하기도 하며 일종의 자연의 정수기 역할을 하게 해주는것이지요.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여 해안침식을 방지하고 갯벌은 블루카본 생태계로 탄소를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갯벌도 세계 5대 갯벌중하나로 202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