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8일 전 작성 됨
Q.
현재 기술로 가능한 지진 예측 방식이나 한계는 무엇인가요??
지진을 예측한다는 의미는 언제 어디서 얼마나 큰지진이 날지 미리 아는것인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는 단층 내부의 응력변화가 눈에 보이지 않고, 작고 많은 지진이 꼭 큰 지진의 전조가 되지는 않으며 지진전 가스의 분출이나 지화수 변화 전자기 변화등은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대지진의 사례가 드물고 지역마다 양상이 조금ㅆ기 다르기에 AI등을 이용하여 충분한 학습데이터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현재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AI 딥러닝 등의 기술들을 적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지는 것이 달과 멀어지는 것도 영향을 미치나요?
달이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따는 사실은 지구이ㅡ 자전속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합니다. 지구와 달은 서로 중력으로 묶여 있는데 이 중력작용으로 조석이 발생하게 되죠. 이 조석이 지구의 자전을 느리게 만들고 달은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게 만드는 현상이 발생하죠. 달은 지구의 바다에 조석력을 가해 해수면이 붚루어오르는 밀물과 썰물을 만들어내게 하는데 지구는 자전하고 있끼에 바닷물은 달보다 약간 앞서서 불룩해진 위치에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조석돌출이 달을 앞에서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달은 점점 더 높은 궤도로 밀려나면서 멀어지게 되는데 약 3.8cm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죠.달을 밀어내는 대신, 지구는 회전 에너지를 잃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구의 자전속도는 점점 느려지는 것이죠.
18일 전 작성 됨
Q.
블랙홀에도 수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블랙홀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이 호킹복사인데요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현상으로 양자역학적으로는 진공도 완전히 비어있지 않고, 입자-반입자 쌍이 계속 생성되었따가 사라지는 일이 벌어지는데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선 이 쌍 중 하나가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고, 나머지 하나는 우주로 튀어나가게되어 블랙홀이 에너지를 바깥으로 잃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즉 블랙홀은 아주 천천히 증발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블랙홀의 수명은 질량에 따라 극단적으로 달라지는데 태양만큼의 블랙홀은 수명이 약 10^67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량이 은하 중심 초거대질량 블랙홀은 10^100년이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우리 은하는 현재 어디로 움직이고 있나요?
태양계는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초속 약220km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한바퀴 도는 데 2억 5천만년 걸리는데 은하의 1년 이라고 표현하지요. 우리 은하는 지구 처럼 한 자리에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은하들과 함께 우주 공간 속에서 빠르게 움직이고 있죠. 우리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함께 중력으로 묶인 국부 은하군의 일원이고 은하군 내에서 우리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 방향으로 시속 약 40만km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우리 은하는 현재 쌍둥이자리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대한민국에서 6월 역대 최고 기록이 어떻게 되나요?
2025년 6월 전국 평균기온은 22.9도였으며 관측이래 최고치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년보다 약 1.5도 전년도인 2024년보다 0.2도 높았으며 열대야와 폭염까지 동반되었죠. 2025년 6월 최고기온으로는 밀양이 36.9도, 거창과 울진 완도등도 36도정도를 기록하였으며 최고기록은 1958년 6월 26일 대구의 38도로 알려져 있끼에 아직 깨지지는 않았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