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플라스틱에 첨가되는 강화 섬유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건축업계에서 "철근 콘크리트"를 쓰는 것과 비슷하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당기는힘)에는 약한 특성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사이사이에 철근을 심어두면, 전체적으로 압축과 인장에 모두 강한 성질을 보이게 됩니다.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의 경우에는, 플라스틱은 유연하지만 전체적인 강도가 부족합니다. 이때, 섬유를 사이사이에 넣음으로써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인장력과 강도를 모두 보완하는 것입니다.이때 강화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을 사용합니다.이러한 재료를 크게 복합재료로 분류합니다 ^^ 복합재료의 특성을 이용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Q. 순수 금속보다 합금이 더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요점만 말씀드리면, 다양한 성질 개선 및 비용절감 때문입니다.몇가지 예시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예를들어, 철에 탄소를 더해서 강철로 만들면, 강도가 훨씬 증가하게 됩니다.또, 많이 아시는 바와 같이 순금은 무르고 비용이 비싸지만, 10K나 14K 등은 은, 구리, 니켈 등을 추가로 넣어비용을 절감하고 좀 더 단단한 성질을 갖게 만들 수 있습니다.또, 철은 쉽게 부식되지만, 스테인리스 스틸은 니켈, 크롬 등이 함유되어 철 대신 산화되기 때문에 잘 부식되지 않는 특성이 생기기도 합니다.
Q. 3D 프린팅의 장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기존에는 형태를 만들기 위해선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의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붕어빵을 만드려면 붕어빵 모양틀이 필요했고, 국화빵을 만드려면 국화빵 모양틀이 필요한 것 같이 모양에 맞춰 설비가 필요했던 것이죠.그러나 최근에 3D프린팅 기술이 발달하면서 "3D프린팅 인쇄 파일"만 있으면, 어디서든 동일한 모양을 만들수 있게 됐습니다. 극단적으로는, 달에서 건물을 짓는 경우를 가정해볼때 기존에는 각 설비를 다 가져갈 수가 없어서 힘들었지만, 이젠 달의 재료로 가공하여 3D프린트 인쇄한다면 별다른 추가 장비 없이도 인쇄기 만으로 제작이 가능한거죠. 그에따라 장소적, 시간적, 비용적으로 많은 제약이 사라진다는게 가장큰 장점으로 생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