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슐랭이라는 용어가 요리사에게 최고의 자리인가요?
안녕하세요.마쉬멜로우처럼 생긴 타이어 브랜드 캐릭터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해당 브랜드가 미쉐린(프랑스 회사인데, 발음이 미슐랭입니다.)인데, 관광 홍보 목적으로 라는 책자를 배포하였었습니다. 그러나, 그 책자에서 맛집을 선정하여 홍보하는 컨텐츠가 실리게 되었는데, 시간이 지날 수록 권위를 얻게된 것입니다. 물론, 최고의 식당을 선정하는 기준이야 주관적인 부분일 수 있겠지만, 현재 미슐랭은 가장 유명한 식당 평가 인증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Q. TV 프로그램에서 미슐랭이라는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요.이 용어는 요리사에게 붙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미슐랭이란건 "미슐랭가이드"가 식당에 부여하는 상입니다. 즉, 식당이 갖는 요리의 맛, 식당 분위기, 서비스 등을 종합하여 식당에 매기는 상에 해당합니다. (별하나~ 별세개) 물론, 요리사가 훌륭하면 식당이 미슐랭 스타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건 맞지만, 요리사 자체에게 주는 인증 아니고 식당에 주는 것입니다. 다만, " 00 쉐프가 미슐랭 ㅇㅇ스타 식당쉐프다" 이런식으로, 식당이 받은 상을 간접적으로 식당 소속 쉐프가 사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Q. 변리사 자격증 취득시 독학으로도 가능한 것인지 혹은 학원을 필수적으로 다녀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가능/불가능을 단언할 순 없겠지만, 제가 본 합격자분 중에 학원강의를 안들으셨던 분들은 없었습니다. 계속해서 학원을 다닐 필요까지는 없어도, 처음에 시작할때 혼자 책보고 공부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해주는 기본강의 정도는 거의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다만, 요즘은 온라인강의가 잘되어있고 온라인 스터디가 활발하긴합니다. 그래서 학원에 직접 가지않고 독서실에서 공부하지만,알고보면 강의도 수강하고 비슷한 수험생끼리 스터디를 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Q. 어린이 귀신이야기를 몇개 창작했는데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머리속에 있는 생각만으로는 저작물이라고 볼 수 없고, 그 사상이나 감정이 "표현"되어야 합니다.즉, 그 내용을 글로써서 출판을 하신다던지, 인터넷에서 게시하여 연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다음 브런치, 문피아, 네이버 웹소설 챌린지리그 등을 활용하시면 어떨까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