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행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저작권법에서는 타인의 저작물을 허락없이 복제하거나, 공중송신하거나, 배포하는 경우 등을 저작권 침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저작권법 11조 이하 참고) 타인의 저작물을 복제하여 판매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에서 송신하는 행위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저작권 침해자에게 저작권자는 민사적으로 침해금지청구, 손해액에대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123조, 125조 들)고의로 저작권을 침해한 경우 저작권 침해죄로 고소되어 형사적 조치를 받을 수 있는데요. 5년이하 징역, 5천만원이하 벌금에 처할수 있습니다. (136조)
Q. 그래핀(Graphene)은 왜 차세대 재료로 주목을 받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그래핀은 육각형의 탄소들이 평면적으로 층을 이루고, 그 층들이 여러겹으로 스택되어 있는 형태를 갖습니다. 그 사이에 전자들이 있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이 매우 뛰어나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차세대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거죠.대량생산을 위한 비용, 가공편의선 등이 해결된다며 현재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현재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우주 항공소재 등 첨단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듯 합니다.
Q. 변리사 향후 전망 어떨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다양한 기술분야가 발달하고 있고, 한국이 세계 5대 출원 국가인만큼, 지금이나 근미래까지는 꽤 전망이 좋다고 생각되네요.다만, 워낙 AI가 발달하고 있어서 전문직 자격증(내지 면허)이 있다고 하여 안정적인 고수입을 버는 미래를 확신하긴 어렵습니다. 그래도 변리사는 사람의 머리에있는 아이디어를 문서화하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완전한 대체는 어렵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사견)전망도 중요하지만, 변리사는 적성에 맞는 성격인지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이공계열과 법학지식이 모두 필요하므로, 과학과 논증을 좋아하는 성향인지도 점검해보시면 좋을 듯 하네요. (특히나, 소수로 사무업무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업무스타일을 좋아하시는지도 중요합니다 - 물론 업무에따라 길은 많긴합니다.)
Q. 유튜브에 수학 모의고사 문제 풀이 올리면 저작권 문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엄밀히는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문제를 배포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입니다.유튜브 영상을 통해 문제를 온라인 배포하는 셈이 되기 때문에 저작권 침해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다만, 저작권침해는 저작권자가 직접 분쟁을 제기해야 문제가 되는데, 유튜브에 문제 풀이를 올리는 정도에 대하여 학교나 평가원 등에서 기출문제 배포를 이유로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는 일은 자주 있는 일은 아니긴 합니다. 다만, 적어도 사설모의고사의 경우 저작권 침해로 법적 분쟁이 생기는 경우가 꽤나 있는 일입니다. 문제를 대량으로 업로드하거나, 문제집 파일 자체를 올리는 것은 주의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