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폰트 사용에 대한 지식 재산권 고소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폰트를 사용할 때 하나하나 확인해서 사용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즉, 작업하실 때, 사용하는 라이센스-프리 폰트를 받아두시고 그 안에서 골라서 쓰는 방법으로 쓰시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한글이나 워드를 설치할 대 들어있는 폰트 중에서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인 것들이 섞여있기 때문에, 무료라고 착각하여 사용하시는 것은 곤란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한국 출판인 협회"에서는 Kopub 이라고 하는 폰트를 배포하고 있는데, 다양한 기본 폰트이면서 디자인 적으로도 우수한 폰트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 폰트는 상업적으로 이용해도 (즉, 출판물 등에 사용해도) 무료이므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네요.
Q. 같은 고분자라도 가공 방식에 따라 투명도가 다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네 같은 고분자라도 가공방식에 따라서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가장 중요한 요인은 "결정화도 (Crystallinity)입니다. 고분자가 냉각될 때, 결정 구조를 얼마나 형성하느냐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집니다. 결정화가 많이 이루어질수록 빛이 산란되어 불투명해지며, 반대로, 비결정성(아몰포스) 상태가 유지되면 투명도가 높아집니다. 액체상태의 고분자를 고체상태로 냉각할 때, 냉각을 빠르게 하면 결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투명한 재료가 형성되고, 냉각을 천천히 하게 되면 결정 구조가 충분히 생겨서 투명해질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플라스틱 소재는 금속 등 보다 첨가제를 넣기가 좋기 때문에, 첨가제를 추가하여 재료가 빛을 흡수하는 정도나 산란시키는 정도를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실생활에서 예를 들어보면, 사이다 등을 담고 있는 병은 PET 소재인데 색이 투명합니다. 그러나, 우유나 요구르트를 담고 있는 병도 PET인데 색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냉각 속도를 천천히 하여 결정이 성장할 시간을 주었으므로, 불투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