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Q.  Mud in your eye의 뜻 유래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배라는 뜻으로 "Here's mud in your eye"라는 말이 쓰이기도 하는데요.1980년대 미국 선술집에서 유래된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이 표현의 유래를 정확히 알순 없지만 몇가지 전해져오는 말들이 있는데요. 첫번째는 농부들이 선술집에서 술을 마시며 서로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하는 말로 여기서 '머드'는 좋은 흙에 충분한 비가 내리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쓰인 단어가 아닌가 싶습니다.두번째는 경마에서 나온 말이라고 봅니다. 경마에서 이기는 말이 달리며 뒷발로 진흙을 뿌리는데 뒤에 있는 사람의 눈에 진흙이 들어가게 되는데요. 니 눈에 진흙~ 이라는 식으로 자신을 축하며 상대를 놀리는 방식으로 행운을 비는 말에서 유래됐다는 설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성경에 따르면 예수가 진흙으로 눈먼사람의 눈을 고쳐준 일화를 들며 사람들의 건강을 기원할때 이 표현을 인용했다고 봅니다.
Q.  표트르 대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표트르 데제는 1697년부터 대대사관에 착수하여 여러 유럽 국가의 문화와 기술에 대해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유럽으로 시크릿 여행을 하며, 러시아에 여러 유럽문물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이런 움직임은 러시아의 서구화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포트르가 프랑스와 영국의 서유럽 국가와 비슷하게 만들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표트르 대제는 신문을 시작하고, 학교를 열었으며, 심지어 러시아귀족들의 전통적인 긴 수염을 자르게 하고 유럽스타일의 복식까지 입히게 하는등 유럽인처럼 보이도록 강요할 정도였습니다. 이렇게 한 가장 큰 목표는 단순히 유럽에 경제적 교류를 하는 것을 넘어 러시아를 현대화하고 서구화하는 것이 었습니다. 표트르 대제가 러시아를 근대화한 주된 이유는 그가 통치하는 나라가 유럽의 팽창주의 세력에 취약한 상태로 남겨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Q.  조선시대 왕자 군호중 대군과 그냥 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자들의 호칭을 보면 대군과 군으로 나뉘지요. 예를들어 연산군 광해군이라고 부르는반면 수양대군 양녕대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이 대군과 군의 차이는 조선의 임금이 자식을 낳을때 정비인 황후로부터 아들을 낳을때는 '대군'을 붙입니다. 그리고 후궁으로부터 아들을 낳는경우는 '군'을 붙이게 됩니다. 즉 정실이냐 소실이냐의 차이를 알려주기 위한 호칭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Q.  고려시대에는 왕세자를 무엇이라 호칭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세자는 왕의 아들인 왕자중 차기 1순위 왕위계승권을 가진 왕자를 부르는 호칭이지요. 이런 왕세자라는 호칭이 고려시대의 경우 왕태자라는 호칭을 썼다고 합니다. 당시 원나라의 간섭으로 인해 이런 호칭이 쓰인 것 같습니다. 이후 조선을 지나 고종이 대한제국을 공표한 이후 황태자라는 호칭으로 바뀌게 됩니다.
Q.  그림과 조각상의 예술적 가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품에 있어서 그림과 조각은 소재와 표현의 차이일뿐 어느것이 더 비싸거나 가치가 높은지를 구분할수있는 공식적 지표가 있다고 할순 없을 것 같습니다. 정해진 답이 있다기 보다는 예술이 그렇듯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취향과 가치관에 의해 다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그림과 조각의 가치를 다르게 보는 의견이 있다면 이럴 것 같은데요. 전반적으로 회화는 작가의 다재다능함, 접근성, 색상, 빛 구성을 사용하여 더 넓은 범위의 감정과 아이디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조각보다 우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에 회화는 조각보다 더 강력하고 표현적인 예술 형식이라고 보는 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조각으로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조각의 경우 그림보다 제작비와 규모가 더 필요하며, 내구성 역시 조각상이 더 오래가는 경우가 많고 규모에 의해 더 위엄있는 감상이 가능합니다. 또한 기념물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림보다 더 나은 목적에 기여할 수 있음에 조각이 더 가치있다는 시선이 있겠습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