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이정재 전문가
재활 전문 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갱년기 란 무엇인가요?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증상의 종류나 강도는 사람마다 다르겠으나 대략적으로불면증: 갱년기 여성은 불면증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우울증: 갱년기 여성은 우울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관절통: 갱년기 여성은 관절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관절의 연골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요실금: 갱년기 여성은 요실금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방광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위와 같은 증상이 생기고 호르몬 변화에 따라 관계 문제도 있을수 있으니 증상여하에 따라 병원 상담을 받아보는것도 도움이되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운동을 쉬다가 다시 하면 빠른 기간안에 근육이 다시 붙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기존에 운동을 꾸준히 하셨다면 neural adaptation 이라고 해서 신경계 어느정도 적응을 해둔 상태라 다시 운동을 하면 근력강화에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운동량이 부족하면 더 피곤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운동을 통해서 기본적인 심폐지구력도 좋아지고(유산소) 근력운동을 통해서 기초대사량 자체가 올라가면서 몸이 더 건강해질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역력 올리는 것에도 수면, 영양분, 휴식,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적당한 운동이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외식할때만 갑자기 속이 안좋아지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일단 전신 컨디션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았나 확인해보시고, 내과 진료를 먼저 보는게 중요하겠습니다. 드시는 음식이 기름지거나 할 수 있으니 가급적 속에 부담이 덜가는 음식 위주로 드셔보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는 게 성생활에 문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밤에 화장실 가는것은 야간뇨라고 표현합니다 2회이상 가고 다른 증상이 동반되었다면 병원부터 가보시는게 좋습니다. 단순 야간뇨인지 아니면 방광염 증상인지 확인이 필요하곘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방광염 진단 받았는데 성관계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가급적 치료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나을때까지는 자제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꾸준히 약복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왜 다리를 꼬고 있으면 저릿한 느낌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관이 눌릴수도 있지만 자세에 따라서 신경이 눌리거나 자극되어 저릿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가급적 다리 꼬는 자세는 허리나 골반 밸런스에 좋지 않으니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무릎이 붓고 구부릴때 통증이 심한데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적으로 붓기가 심하니 냉찜질 해주시고 붓기 심하고 열감 나며 구부리기 힘들다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내원하셔서 검사 후 치료 받는게 좋아보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걸을때 발 뒷꿈치에 무리가 많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 족저근막염, 아킬레스 건염등 정확한 진단과 상태를 xray 초음파 필요시 MRI 를 통해 진단받는게 우선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 이후에 상태에 따라 주사/충격파치표/도수치료 등을 병행하는게 도움이 되곘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19일 작성 됨
Q.
테니스 엘보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은 운동을 쉬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게 좋겠습니다.위와 같은 운동이 도움이 되나 우선 병원 진료 치료를 우선으로 해서 충분히 낫게 한다음 운동치료 들어가는게 좋겠습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