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간의 골격을 기계로 대체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뼈같은 경우는 대체가 가능하구요그외 요즘은로봇기술의 발달로팔다리 기능 정도는 실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보정기로 장착이 되는 수준입니다.뇌 신호를 읽어서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도 발전하고 있기에마비환자가 로봇보조장치를 통해 움직임을 얻을 수 도 있습니다.그외 장기를 본다면일부 인공장기는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최근에는 더욱 성능좋은 인공심장도 나왔지요)그외 부분들도 아마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두 가능해 지는 시점이 오리라 봅니다.다만윤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문제가 발생하는데요신체 대부분이 기계로 대체되었을 경우인간이라는 정의에 대한 질문, 인간성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 생깁ㄴ다.또한신체를 기계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윤리적 문제개인의 자율성, 프라이버시,정체성 문제등을 고려해야 할겁니다.게다가 고급 로봇기술을 얼마든지 사용/ 교체가능한 사람과그렇지 못한 사람과의 격차발생이로인한 사회적 불평등 의 문제도 발생하게 되겠지요.
Q. 기계공학의 미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의 기술 트렌드와 연관지어 구체적인 응용 분야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은 현대산업/ 기술발전에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합니다.이는 물리학.전기공학. 소재공학, 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여 기계 시스템을 제조/설계/운영 하는 데 있어핵심적 역할을 수행합니다.또한새로운 기술과 혁신을 통한사회/ 산업 발전을 유도하는 핵심역할을 하고있습니다.예를 들면3D 프린팅 기술을 활용,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의 부품을 한번에 가능한 기술이 발전 중입니다.이를 바탕으로 제조과정의 효율성, 비용절감 인공지능 빅테이터 기술까지 접목하여기계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유지보수 효율성을 꾀합니다.또한 환경보호/ 에너지 효율성 증대 분야에도 힘을 쏟는중입니다.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연구로친환경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이바지 하는 중입니다.그외에도 의료/ 항공우주 등 분야에도 응용되어인간의 삶의 질의 수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