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스패너 렌치 이런공구의 규격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공구의 싸이즈는그것을 사용할 볼트나 너트에 따라 정해지는 건데요.1차대전을 계기로 산업표준이 확대다고2차대전 직후 국제산업과 공업표준 중요성이 절실해지면서현재의 국제표준기구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가 설립되어현대적인 국제표준화가 틀을 갖추게 되었습니다.그러나...이런 표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나라나 지역에 따라 사용되는 규격이 다릅니다.대부분 지역은 ISO, KS, JIS 의 mm 규격을 사용하고, 나사산 각도는 55도 인데요.미국과 일부 유럽은 인치 단위를 사용하고, 나사산 각도가 60도 입니다.미국이 좀... 유별나게 전통적으로 인치를 사용하기에미국 장비는 모두 공구도 인치를 써야합니다.미리와 인치 공구는 허용공차가 있기에5/16 = 8mm7/16= 11mm5/8 = 16mm3/4 = 19mm7/8 = 22 mm15/16 = 24 mm는 혼용이 가능하나나머지는 미리 공구로 인치를 카바 못하기에 인치용 툴세트가 필요합니다...볼트의 규격에서 mm 단위로 볼 때 표시하는 방법은M 과 L 로 표시되는데보통 M3, M4 이렇게 표시되는M은 나사산의 외경을 나타내고L은 볼트의 나사산이 있는 부분만의 길이를 표시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격증 준비하는기간 얼마나준비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에너지 관리기사 방면이 딱히 어렵지는 않은 듯 합니다.물론 열관련 해서 공식이 생소하지 않으시다면 더욱 쉽지만에너지 관련 공식이 생소하다면 약간 어려울 수도 있긴한데요의외로 공식은 이해하면 쉽기 때문에 수월한 편 입니다.특히 2020년 까지는 실기시험이 필답형에 작업형까지 있어서 배관을 짜야되는 부분이 힘들었으나21년 부터는 실기도 필답형으로만 출제되기에필기를 제대로 준비한다면실기도 결국 주관식 일뿐 어렵지는 않습니다.필기 준비기간 대략 2개월 정도 열심히 하시면 가능하구요필기를 열심히 준비하셨다면 실기도 어렵지 않게 통과 가능하겠습니다.무작정 유튜브로만 하시는 것 보단기본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은 당연히 구매하셔야겠구요에너지관리기사 취득 시 바로 초급 기계설비유지관리자로 선임이 가능하기에정년없이 평생근무도 가능합니다.합격률을 보자면 필기 대략 30%대 이고실기는 30프로 후반대 입니다.화이팅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MRI 기기에서 복소수가 어떤식으로 활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MRI는 강력한 자기장과 전자기파로인체의 내부 수분의 반응에 따른 내부구조를 영상화 시키는 기기 입니다.MRI 작동과정에서인체내 수소 원자들을 자기장에 노출시켜원자의 회전을 정렬 시킵니다.또한 전자기파 투사로 원자의 스핀을 방해하는데전기기파 투사를 정지하면 원자 스핀이 다시 정렬되기에 그때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합니다.이 신호가 복소수 형태로 표현됩니다복소수의 크기는 신호의 세기, 복소수의 각도는 신호의 위상을 가르킵니다.MRI에서 수신한 신호는 시간 도메인에 있습니다이 것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목적으로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는데요푸리에 변환은 복소수를 이용하여신호를 여러가지 주파수 로 분해하고, 이를 또 복소수 형태로 표시합니다.푸리에변환의 결과값은 복소수로 나타나며, 이 복소수 크기는해당주파수 성분의 강도, 복소수의 각도는 주파수 성분의 위상을 표시합니다.MRI에서 푸리에 변환을 통해 추출된 주파수 도메인의 신호는 이미지로 변환되는데복소수 크기와 각도를 사용해서 이미지의 색상과 명도를 결정합니다.복소수 크기가 크면 밝고, 복소수 각도가 변하면 이미지의 색상이바뀌는 식 입니다.위와같이 MRI에서 복소수는신호를 수신 및 변환, 이미지화 하는 과정에서 이용됩니다.즉, 복소수로 인해 MRI는 인체의 내부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영상화 가능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동차가 구동하는 방법의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자동차는 차량의 운전력이어떤 바퀴로 전달되냐 에 따라전륜 구동, 후륜 구동, 사륜구동 등으로 나뉘는데요.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식은 전륜구동 방식입니다.엔진의 동력이 앞바퀴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FWD 로 표시되구요앞바퀴에만 동력을 전달하기에, 뒷바퀴는 그냥 따라가는 방식입니다.앞바퀴를 들어버리면 뒷바퀴는 그냥 따라오니보통 견인을 할 때 앞바퀴만 들어서 끌고 가지요.장점으로는후륜/ 사륜 구동에 비해 연비가 좋고, 차량중량이 앞에 쏠려있어 실내공간이 넓은 편엔진과 구동력이 가까워 불필요한 엔진손실없고, 힘이 있는 그대로 전달됨제조 단가가 저렴후륜/사륜 에 비해 주차가 쉬움단점으로는차체의 뒷부분이 가벼워 승차감이 떨어짐(뒤쪽이 덜컹거리는 느낌)코너 주행 시 앞바퀴가 미끄러지는 면이 있어 차량이 쏠리는 느낌후륜구동 방식은RWD로 표시되고요엔진동력이 뒷바퀴에 전달되는 방식으로장점으로는뒷바퀴가 차량무게를 지탱하기에, 코너 주행시 접지력 좋고 민첩성이 좋음언덕출발이나 짐을 실은 상태로 주행할 때 유리고속안정성/ 코너링/ 승차감이 좋으며 힘있는 주행감을 느낄 수 있음.단점으로는전륜/사륜에 비해 연비가 떨어짐차체가 무겁고 차량 가격이 비싸짐엔진 및 변속기가 뒤에있어 실내공간이 전륜에 비해 좁음뒷바퀴로 방향전환을 하므로 좁은 반경으로 회전이 힘들 수 있음번 외로사륜구동방식은 모든 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주행 안정성이 좋은데요장점으로는미끄러운 도로나 오프로드같은 험한 지형에서 주행가능주행성능이 우수빗길 눈길에서 헛바퀴도는 일이 없으므로 주행성 좋음단점으로는 부품이 많고 설계가 복잡하므로 차체가 무거움차체가 무거워 연비가 떨어짐많은부품과 복잡설계로 차량 가격이 비쌈.정도로 나눠 볼 수 있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제조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산업무중 모르는 용어가 많네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제조 분야에서ERP 라 함은 전사적 자원 관리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입니다.ERP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MES도 생각하게되며이 두가지는 별개로 생각하기 힘듭니다.MES는 제조실행시스템으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입니다.공장자동화는 ERP와 MES에서 디지털 정보를 추출할 수 ㅇㅆ습니다.또한 공장자동화 뿐만 아니라사무자동화를 RPA ( Robotic Process Automation) 은단순반복적 전표 등을 만들어 내는데엑셀의 단순 반복적 패턴을 딥러닝 시켜서보고서 작성도 가능합니다.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은기업응용프로그램 통합 의 개념으로전사적 응용 프로그램 통합 솔루션입니다.ERP, MES.등등 각종 시스템들의 업무로 부터 발생하는 데이터 등을 통하하고동일한 플랫폼을 통해 기존 시스템들의 변화없이통신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지요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