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방원은 왜 정몽주를 죽이기 까지 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후기에 무신정권 시기를 거치면서 권문세족의 힘이 약화되었다가 원나라에 정치적 간섭을 많이 받던 시기에 다시 권문세족들이 친원파로 권력을 잡게 됩니다. 원나라에게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기 원했던 공민왕은 친원파 권문세족들을 견제하기 위해 성리학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신진사대부들을 중앙정계로 진출시켜 자신의 정치적 우군으로 삼고자 했습니다. 이 시기에 이색, 정도전, 정몽주를 대표로 하는 신진사대부 세력들이 고려정계에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권문세족들은 경제적으로 볼 때 대지주들이었고 신진사대부들은 지방호족들로써 중소지줄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원나라에 치우친 권문세족과 달리 성리학을 받아들인 신진사대부들은 원나라에 매우 비판적이었습니다.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이후에 신진사대부 계층은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자는 주장을 하는 세력과 고려를 지키면서 개혁하자는 세력으로 나뉘게 됩니다. 유교에서는 임금에 대한 충을 강조하기 때문에 많은 신진사대부들이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일에 반대하고 있었습니다. 그 세력들의 대표인물이 정몽주였던 것이었습니다. 이성계, 정도전 등은 되도록이면 정몽주를 회유하거나 포용하여 조선을 건국하고자 했지만 이방원은 정몽주와 그 세력들을 그대로 두고는 새로운 왕조의 시작이 어렵다고 보고 결국 정몽주를 제거하게 되었습니다.
Q. 조선시대에는 유배를 가서도 문학 작품이나 저술활동을 했는데,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유배는 큰 형벌이었지만 조선초기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과 그 후 사림파가 정치권력을 얻은 뒤에도 동인, 서인, 남인, 북인으로 나뉘어 당파싸움이 벌어지고 이는 영조, 정조 대에는 노론, 소론 등의 대립으로 심화되게 됩니다. 조선 중기에는 사림파 유학자들이 정치적 탄압을 받는 여러차례의 사화가 있었고 그 뒤 정치권력을 잡은 세력이 급격하게 몰락하거나 변화하는 환국이 여러 번 일어나게 됩니다. 이는 조선의 왕들이 왕권강화를 위해 사화와 환국을 일으키게 되지만 신하들의 세력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어 어느 한 쪽 당파에 과도한 권력이 가는 것을 막으려는 왕들의 노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당파들의 권력싸움 속에서 유배를 당하는 경우가 많아 유배지에서 지역을 이동하는 것은 엄격하게 금지되었지만 유배지의 일정한 구역 내에서는 자유를 누릴 수 있어 저술활동과 과학탐구 활동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정약용이 대표적으로 유배지에서 많은 실학과 관련된 책을 쓰고 과학적인 성과물을 낼 수 있었던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배라는 형벌이 결코 가벼운 것은 아니었지만 당파싸움의 결과에 따라 다시 권력을 잡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유가 어느 정도 허락되었을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Q. 전설과 설화는 어떻게 구분을 지울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설화가 전설보다 상위개념입니다. 설화는 내용, 등장하는 존재의 성격, 듣는 사람들의 인식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신화와 전설과 민담으로 나누어집니다. 신화는 신적인 존재가 등장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세상이 창조되거나 국가가 건설되는 등의 거대한 사건들로 마무리가 됩니다. 창세신화, 건국신화 등에서 그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인공은 신이며 신적인 능력을 발휘하며 신성한 장소가 등장합니다. 신화를 사람들은 진실로 믿으며 신성한 이야기로 받아 들입니다. 주로 민족적 범위에서 이야기가 이어져 가게됩니다. 전설은 영웅적인 존재가 등장하고 큰 능력을 발휘하지만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기장수 전설(설화)처럼 영웅적인 존재가 큰 능력을 드러내지만 비극적 결말로 이야기가 마무리되게 되는 것입니다. 주로 구체적인 장소나 사물이 증거로 제시되고 지역적 범위에서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사람들은 진실되고 실제 있었던 일이라고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민담은 평범한 사람이 주인공이고 일상적인 이야기 속에 흥미를 유발하는 해학적 내용들이 주를 이룹니다. 평범한 인간이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진실되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흥미롭다고 여기게 됩니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전설은 설화라는 큰 갈래에 하위 갈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