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9월 12일 작성 됨
Q.
산업화 시대의 삶을 소재로 한 소설은 무엇이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산업화 시대의 삶을 소재로 한 대표적인 소설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있습니다. 이 작품은 1970년대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빈민층의 고통과 불평등을 다룹니다. 주인공 난장이 가족은 공장 노동자로 일하며 가난과 착취 속에서 살아갑니다. 이 소설은 산업화로 인해 파괴된 공동체의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며 산업화의 그늘에 놓인 사람들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그려냅니다.
2024년 9월 12일 작성 됨
Q.
자본주의 사회에서 움튼 소외와 고독을 나타낸 작품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현대인들의 소외와 고독을 잘 나타낸 작품 중 하나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입니다. 이 작품은 주인공 그레고르가 자고 일어난 어느날 거대한 벌레로 변해버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그는 가족과 직장으로부터 점점 소외되고 자신의 존재가 쓸모 없어지는 것을 느끼며 극도의 고독을 경험합니다. 그레고르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어가는 과정은 우리 모두가 겪을 수 있는 내면의 혼란과 정체성의 위기를 상징하며, 카프카는 그레고르의 비극적 변화를 통해 이 모든 것을 적나라 하게 드러낸다.
2024년 9월 12일 작성 됨
Q.
<춘향전>에서 춘향이는 기생 월매의 딸인데요. 그런데 춘향이는 왜 기생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춘향이 관기 월매의 딸로 태어났기 때문에 천민인 기생의 신분이 맞습니다. 그러나 이몽룡과 사랑에 빠진 후 관기의 신분을 벗어나고자 노력하였고, 스스로도 기생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이몽룡과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변학도의 수청을 거부한 것은 사랑의 행동으로도 해석할 수 있지만 신분제도에 대한 스스로의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판본에 따라서는 성참판의 서녀로 춘향을 소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기보다는 낫지만 조선시대에 서자, 서녀들 또한 차차별받는 존재라는 것은 같았습니다. 그렇지만 서녀인 경우에는 양반 신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춘향은 이야기 속에서 결국 이몽룡의 정실부인이 되면서 신분상승의 소원을 이루게 됩니다.
2024년 9월 11일 작성 됨
Q.
세계의 언어 중에서 시제가 없는 언어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중국어 및 버마어 등의 동남아시아 언어들에서는 문법적으로 시제 형태소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간적 정보를 나타낼 때는 시간부사(어제, 오늘, 내일)나 상황에 따른 맥락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를 부분합니다. 이러한 언어들은 시제 대신 동작의 완료 여부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표현합니다.
2024년 9월 11일 작성 됨
Q.
다른나라에서 유미주의가 어떻게 나타났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유미주의는 19세기 서양에서 발생한 예술 운동으로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하며 예술의 자율성과 아름다움을 강조한 사조입니다. 유미주의는 도덕적 교훈이나 사회적 기능보다 예술 자체의 미적 가치와 쾌락을 중시했습니다. 영국의 작가 '오스카 와일드'와 같은 인물들이 유미주의 운동을 대표하며, 그의 작품들은 예술이 단순히 도덕이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완전하고 독립적인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미주의는 감각적이고 세련된 미학을 추구하며 당시의 엄격한 도덕적 기준에 반기를 들었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