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세계의 언어 중에서 시제가 없는 언어도 있나요?
우리나라 언어인 한국어나 영어, 그리고 대부분의 언어의 경우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시제가 없는 언어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언어도 무시제 언어로 보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었.겠.는 등이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화용론적 의미보강일 뿐이라고 보죠.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고대 히브리어에는 시제가 없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대의 언어에는 대부분 시제가 있다고 합니다.
중국어의 경우 어제를 나타내는 말, 오늘을 나타내는 말, 내일을 나타내는 말 등의 시간부사는 있지만, 시제가 없어 동사가 변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중국어 및 버마어 등의 동남아시아 언어들에서는 문법적으로 시제 형태소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간적 정보를 나타낼 때는 시간부사(어제, 오늘, 내일)나 상황에 따른 맥락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를 부분합니다. 이러한 언어들은 시제 대신 동작의 완료 여부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표현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시제가 없는 대표적인 언어가 인도네시아어 입니다. 우리말에는 나는 밥을 먹었습니다. 밥을 먹습니다. 밥을 먹을 것 입니다. 등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어는 동일하게 나느 밥을 먹는다 한가지로 씁니다. 그래서 문맥으로 시제를 판단 해야 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