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자본주의 사회에서 움튼 소외와 고독을 나타낸 작품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과거에 비해 현대인들은 소외와 고독을 더 많이 느낀다고 하는데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움튼 소외와 고독을 나타내는 작품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현대인들의 소외와 고독을 잘 나타낸 작품 중 하나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입니다. 이 작품은 주인공 그레고르가 자고 일어난 어느날 거대한 벌레로 변해버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그는 가족과 직장으로부터 점점 소외되고 자신의 존재가 쓸모 없어지는 것을 느끼며 극도의 고독을 경험합니다. 그레고르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어가는 과정은 우리 모두가 겪을 수 있는 내면의 혼란과 정체성의 위기를 상징하며, 카프카는 그레고르의 비극적 변화를 통해 이 모든 것을 적나라 하게 드러낸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조지 오웰의 <1984>

    알도스 헉슬리의 <미묘한 세계>

    레이 브래드버리의 <파이어맨>

    마가렛 앳우드의 <태어나기 전에>

    조셉 헬러의 <소시오패스>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와 고독은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표현되어 왔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에서 컨베이어 벨트 위의 인간으로 전락한 주인공을 통해 기계화된 사회에서의 소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카프카의 소설 '변신'에서는 사회로부터 소외된 주인공의 고립감과 절망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현대인의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은 도시의 고립된 개인, 외로운 군중 속의 고독 등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현대인의 소외감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특히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은 도시의 외로운 밤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현대인의 고독을 강렬하게 드러냅니다.

    칼 비만의 소설 '만트라'에서는 현대 사회의 소외된 개인들의 삶을 냉철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주인공들의 고독과 소외감,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는 도시의 메마른 분위기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현대인의 공허함을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의 소외와 고독을 나타낸 작품을 쓴 작가중 한명이 김승옥 입니다. 다본주의는 물질만능주의와 인간소외, 타인에 대한 방관적 태도 등의 부정적인 문제점 또한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공업화와 더불어 도시화와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근대화를 이루면서 그 과도기라고 볼 수 있는 1960년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할수 있습니다. 김승옥은 <서울, 1964년 겨울>이라는 그의 소설 속에서 도시화, 근대화와 관련해 도시의 일상과 그 속의 세속적 욕망과 일탈 욕구, 현실에 의한 좌절 등 당대의 사회 현실 속에 드러나는 작품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