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경책은 왜 구약 신약 이렇게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성경은 구약과 신약으로 나뉘어지는데 구약은 태초의 시작과 이스라엘의 역사, 시가서, 선지서 등으로 구성되며 신약은 그리스도의 삶, 사도들의 행적, 사도들이 교회에 보낸 편지가 포함됩니다 구약, 신약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성경이 하나님과의 약속이라고 부르기 때문입니다.
Q. 외재적, 내재적 비평은 접근 방식이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외재적 접근방법에는 표현론적, 반영론적, 효용론적 관점이 있습니다. 외재적 방법은 문학 작품을 해석할 때 작품 외부의 요소를 중요시하게 됩니다. 표현론적 관점은 작가의 생애와 삶의 방식, 문학적 성향 등을 통해 작품을 해석하고, 반영론적 관점은 작품이 나온 시기 또는 작품 속의 역사적 현실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효용론적 방법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독자들이 작품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분석합니다. 그에 반에 내재적 관점은 절대주의적 관점, 구조주의적 비평이라고도 하는데 작품 외부의 요소를 제외하고 작품 자체만으로 해석하고자 방식입니다. 윤동주의 시 ‘서시’를 해석할 때 윤동주 시인의 삶에 집중하면 표현론적 관점, 일제강점기 현실을 바탕으로 작품을 해석하면 반영론적 관점, 독자들이 서시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의미를 찾으면 효용론적 관점입니다. 그리고 서시의 시어, 문체, 시적화자의 특징 등으로 작품을 해석하면 내재적 관점입니다.
Q. 내재적 비평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내재적 비평은 작품 외부에 존재하는 작가, 독자, 현실세계를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작품 자체에만 관심을 집중하여 문학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데에 필요한 것들은 모두 작품 안에 존재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시에서는 주로 어조, 운율, 이미지, 수사법, 시상전개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소설에서는 서술자, 구조, 인물의 유형, 문체, 시점 등을 중심으로 감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