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목조건축물은 허가절차가 더 까다롭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목조건축물이 드문 이유는 주로 건축법 규제, 내화 성능(화재안전성), 시공성, 경제성 등의 문제 때문 입니다.목조 건축물은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방화벽, 방염처리 등 추가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건축법에서는 목조 건물의 층수, 규모에 제한이 있습니다. 특히 6층 이상 건물은 불연재로 지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국내 건축법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보다 목조 건축에 대한 기준이 상대적으로 엄격하고 소방설비, 방화구획 등의 추가적인 규정이 필요합니다. 설계 단계에서는 구조 안정성 검토를 더 철저히 해야 합니다.그리고 콘크리트 건물보다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습기나 해충등으로 인한 부식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경제성을 비교해보면 일반 건축물보다는 경제성에서도 불리한편 입니다.
Q.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서울을 비롯해 지방에서도 집값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분양가는 왜 떨어지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 드립니다.** 기존 주택 가격 하락 이유경기 침체와 고금리 영향으로 인한 구매 수요 감소대출 부담 증가로 실수요자 및 투자자 유입 감소매도자들이 가격을 낮춰서라도 매각하려는 경우에는 증가할 수 있음** 신규 분양가 상승 이유분양가는 정부 규제로 인해 건축 원가와 관계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건축 자재비, 노무비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증가땅값 상승 - 정부가 공급하는 공공택지조차 가격이 오르고 있음건축비, 토지비 상승으로 인해 분양가의 하락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분양가 상한제 조정 등으로도 분양가의 하락은 어려울 듯 합니다.지방의 경우 이러한 사유들로 인해서 미분양 물건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