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민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류용준 전문가
주식회사 제이제이코퍼레이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3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세 계약 6개월 연장 시 계약서 다시?
네 맞습니다. 묵시적 갱신의 경우 별도의 계약서 작성이 필요없습니다.단, 계약을 해지하려면 3개월이 지나야하므로, 이사 3개월 전에 반드시 집주인에게 통보하셔야 합니다.통보가 늦어지면 그만큼 보증금을 돌려받는 날짜가 늦어지므로 반드시 지키셔야 합니다.
부동산
2023년 6월 11일 작성 됨
Q.
임대사업자가 실거주목적으로 계약갱신 거절하여 이사 계약을 하였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이 계약의 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할 수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다만, 몇 가지 예외사유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임대인의 실거주입니다.문제는 이 '실거주'가 거짓말이었을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따라서 임대인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2023년 6월 11일 작성 됨
Q.
임대차보호법 임대료기준이 200만원인가요?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기준은 '환산보증금'을 계산해보아야 합니다.환산보증금 계산 방식은 보증금에 월세의 100배를 곱한 값을 더하면 됩니다.환산보증금 = 보증금 + (월세 × 100)보증금 1억 원, 월세 200만 원일 경우에는 1억 원+(200만 원 × 100) = 3억 원이 됩니다.지역별로 이 환산보증금이 기준 이하여야 상가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3년 6월 9일 작성 됨
Q.
재계약 연장 의사표시 변경에 대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라서 계약만료일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는계약을 갱신하고 계속 거주할지, 이사를 나갈지 결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단, 시간이 지나 갱신청구권의 효력이 발생해버리면 번복하기 어렵습니다.따라서 계약 만료일(10월 20일)의 2개월 전인 8월 19일까지는 확실하게 의사표현을 하세요.
부동산
2023년 6월 9일 작성 됨
Q.
제가 살고있는 집에 계약이 곧 만료되면 가족이 새로운 세입자로 들어오는것이 가능한가요?
임차인의 자격에 어떠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따라서 임대인이 동의만 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다만, 계약갱신청구권은 기존 임차인 본인만 행사할 수 있습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