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의 거북선은 언제 건조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거북선의 건조는 1592년 3월 27일 이라고 기록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거북선의 성능 및 구조 형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리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1. 거북선의 성능거북선은 노와 돛을 혼용하였다. 주로 먼 곳을 항해할 때는 돛을 사용하였으며, 돛대는 뉘었다 세웠다 할 수 있었다. 선봉 돌격선의 임무를 띤 전선으로서 별도로 귀선돌격장(龜船突擊將)이 선장으로 임용되어 이순신의 지시에 따라 움직였다. 《충무공행록(忠武公行錄)》에 따르면 거북선은 전투시에 “거적으로 개판(鎧板) 위의 도추를 덮고 맨 먼저 적진에 돌진하였는데, 적병이 배 위에 올라 덤벼들다가는 도추에 찔려서 거꾸러지고, 또 에워싸고 엄습하려 하면 좌우 전후에서 일시에 총을 쏘아 적선이 바다를 덮어 모여들어도 이 배는 그 속을 마음대로 드나들면서 공격하므로, 가는 곳마다 쓰러지지 않는 놈이 없었기 때문에 크고 작은 해전에서 이것으로써 항상 승리를 하였다”고 한다.임진왜란 때 거북선의 승조원은 130여 명이었고, 속력은 이순신의 장계에 기록된 항해시간과 거리를 검토해 보면 약 6km 정도로 추정된다. 개판의 재료에 관하여 한국측 문헌에는 판(版)·후판(厚版)을 덮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본 문헌에는 철(鐵)이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거북선은 적의 화시(火矢)나 총환(銃丸)으로는 뚫지 못하는 돌격전선으로서 16세기 어느 나라 전선과도 견줄 수 없는 것이었다.임진왜란 초기에 이 거북선이 불과 3척 정도 건조되었으나, 전란 중에 얼마나 더 건조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白衣從軍) 중에 칠천량(漆川梁)에서 조선수군이 패전할 때 거의 상실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다시 거북선을 건조하여 “여러 진포(鎭浦)에 배속시켰다”고 하였으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이 없으며, 1980년 한국 해군에서 거북선을 복원 ·건조하여 해군사관학교 앞바다에 띄워 두고 있다. 2. 거북선의 형태와구조거북선은 해상에서 전투력을 고려하여 당시의 전선을 별도로 개장고안(改裝考案)한 것으로서 이순신의 장계에는 “…앞에는 용머리를 만들어 붙이고, 그 아가리로 대포를 쏘며, 등에는 쇠못[鐵尖]을 꽂았으며, 안에서는 밖을 내다볼 수 있어도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볼 수 없습니다. 비록 적선 수백 척 속이라도 뚫고 들어가서 대포를 쏘게 되어 있습니다”라고 하였다.또한 정유재란 때 종군한 이분(李芬)의 《충무공행록(忠武公行錄)》에는 “크기는 판옥선(板屋船)과 같고, 위에는 판자로 덮었다. 판상에는 좁은 십자로(十字路)를 만들어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에는 모두 도추(刀錐)를 꽂아서 사방에 발을 붙일 수 없도록 하였다. 앞에는 용머리를 만들어 그 아가리가 총구멍[銃穴]이 되게 하고, 뒤에는 거북의 꼬리[龜尾]를 만들어 붙이고 그 꼬리 아래 총구멍을 내었다. 좌우에 각각 6문의 총구멍을 내었는데, 그 전체의 모습이 대략 거북과 같으므로 그 이름을 거북선이라 하였다…”라고 거북선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으며, 한편 《이충무공전서》에는 통제영 거북선의 구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① 속명(俗名)을 본판(本版)이라고 하는 저판(底版)은 10매를 이어 붙였는데, 길이가 1,964cm, 머리쪽 너비 364cm, 허리쪽 너비 440cm, 꼬리쪽 너비 321cm이다.② 속명이 삼판(杉版)이라는 좌우 현판(舷版)은 각각 7매씩 이어 붙였는데, 높이는 227cm, 맨 아래 제1판의 길이는 2,060cm이며, 차례대로 길이를 더하여서 맨 위쪽의 제7판에 이르러서는 길이가 3,424cm이고, 두께는 다같이 12cm이다.③ 속명이 하판(荷版)인 노판(艫版)은 4매를 이어붙였는데, 높이가 4자이고, 제2판 좌우에 현자포(玄字砲) 구멍을 하나씩 뚫었다.④ 속명이 역시 하판인 축판(舳版)은 7매를 이어 붙였는데 높이가 227cm이고, 위 너비는 440cm, 아래 너비는 321cm인데, 제6판 한가운데에 지름이 31cm 가량 되는 구멍을 뚫어 속명이 치(鴟)인 타(舵)를 꽂게 하였다.⑤ 좌우 뱃전에는 속명을 신방(信防)이라 하는 난(欄)을 만들고, 난 머리에 속명을 가룡(駕龍)이라 하는 횡량(橫梁)을 건너질러 뱃머리 앞에 닿게 하여, 소나 말의 가슴에 멍에를 씌운 것과 같았다. 난간을 따라 판자를 깔고 그 둘레에 패(牌)를 둘러 꽂았으며, 패 위에 또 속명을 언방(偃防)이라 하는 난(欄)을 만들었는데, 뱃전 난간 위에서부터 패란(牌欄)까지 높이는 130cm이다.⑥ 패란 좌우에 각각 속명을 개판(蓋版) 또는 귀배판(龜背版)이라 하는 11매의 판자를 비늘처럼 서로 마주 덮고, 그 등에 45.5cm 되는 틈을 내어 돛대를 세웠다 뉘었다 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⑦ 뱃머리에는 거북머리를 만들어 붙였는데, 길이는 130cm, 너비는 91cm이며, 그 속에서 황(黃)염초를 태워 벌어진 입으로 연기를 안개같이 토하여 적을 혼미하게 하였다.⑧ 좌우의 노(櫓)는 각각 10개씩이고, 좌우의 패에는 각각 22개씩의 포구멍을 뚫었으며, 12개의 문을 만들었다.⑨ 거북머리 위에도 2개의 포구멍을 뚫었고, 그 아래에 2개의 문을 만들고 문 곁에도 포구멍을 1개씩 두었다.⑩ 좌우 복판(覆版)에도 또한 각각 12개의 포구멍을 뚫었으며, ‘귀(龜)’자 기를 꽂았다.⑪ 좌우 포판(鋪版) 아랫방이 각각 12칸인데, 2칸은 철물을 간직하고, 3칸은 화포 ·궁시(弓矢) ·창검(槍劍)을 간직하며, 19칸은 군사들의 휴식소로 하였다.⑫ 왼쪽 포판 위의 방 한 칸은 선장(船將)이 거처하고, 오른쪽 포판 위의 방 한 칸은 장령(將領)들이 거처하였다.⑬ 군사들이 쉴 때는 포판 아래 있고, 전투시에는 포판 위로 올라와서 포를 여러 구멍에 걸고 쉴새없이 쏜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라좌수영 거북선에 대한 구조는 “치수 ·길이 ·너비는 통제영 거북선과 같으나, 다만 거북머리 아래에 또 귀신머리[鬼頭]를 새겼으며, 복판 위에 거북 무늬를 그렸고, 좌우에 각각 2개의 문이 있으며, 거북 머리 아래에 2개의 포구멍이 있고, 현판 좌우에 포구멍이 각각 1개씩 있고, 현란 좌우에 각각 10개씩의, 북판 좌우에 각각 6개씩의 포구멍이 있고, 좌우의 노는 각각 8개씩이다”라고 기록하였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Q.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는 어떤 왕인가요?
안녕하세요. 사도세자를 죽인 불명예를 제외하고는 아래와 같이 좋은 업적들도 있기 때문에 왕으로 써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1.탕평책-탕평비소론과 남인의 온건파를 고루 등용한 정책.간단히, 평등하게 인재를 등용했다는 말입니다. 이 것을 퍼트리기 위해 탕평비를 세운 것이구요.결과적으로, 한 무리(노론)의 독주가 어느정도 견제되며 왕권이 강화됩니다.2.민생안정-산업진흥-아래 3,4,5 내용 해당3.균역법-군역 부담 줄임 -1년에 군포2필 씩 받던 것을 1필로 줄입니다.4.형벌제도완화-악형금지 -영조는 지나친 형벌을 금하게 합니다.5. 신문고제도부활-신문고는 억울한 일을 당하면 북을 두드려, 왕에게 억울함을 호소하는 제도였지요.6. 편찬-[속대전][속오례익] 등- 편찬을 함으로써, 문물제도를 정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