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잘못된 친구들과 어울리고 있는 아이,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친구 관계를 무조건적으로 끊는 것은 고민을 좀 해봐야 합니다. 정말 악영향을 주고, 아이 혼자 친구 관계를 끊기 어려운 경우라면 보호자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일단은 아이가 그 친구 관계가 건강한 관계인지 생각해보고, 아이가 그 관계를 멀어지게 하는 등 스스로 해보게끔 하는 게 더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보호자가 오해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고요. 우선은 아이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그 친구들이 어떠한지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Q. 숙제를 매번 미루다가 마지막 순간에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숙제를 미리 할 수 있도록 숙제를 하는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학교에 갔다와서 바로 하면 아이가 잊어버리지 않고 바로 하기 때문에, 미루거나 늦어질 일이 없어요. 아니면 저녁 먹기 전 등처럼 시간을 정하도록 해 주세요. 현재 학년에서는 숙제가 오랜 시간 걸리지 않고 간단하게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숙제를 미리할 수 있도록 독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숙제를 아이가 미리 하면 긍정적인 칭찬을 해주어 아이의 습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세요.
Q. 과학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 어떻게 하면 잘 이해하도록 도울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은 먼저 원리를 이해해야 하고, 단순히 개념을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푸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이나 탐구 활동 등을 직접 해보고, 해보는 게 어렵다면 과정을 살펴보면서 먼저 이해하는 게 우선이고 이 이해한 원리를 토대로 이해하고 중요한 공식은 암기하여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풀 때는 단순히 외워서 푼다고 생각하지 않고, 원리를 토대로 이해해서 푸는 과정이 필요함을 고려해야 합니다.
Q.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은?
안녕하세요.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사회성을 발달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교류와 경험의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친구들과 놀이 경험을 갖게 해 주시거나, 문화 센터, 학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교류가 이어지도록 해 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초등학생이 자립심을 키우도록 가르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아이의 나이, 학년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습니다만, 보통 보호자가 계속 해주면 아이가 스스로 하기보다는 보호자가 해주는 것을 기대하거나, 그걸 당연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간단한 것(자신의 방을 치우기 등)부터 스스로 아이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아이가 독립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 처음에는 같이 하거나,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