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채수환 전문가
조남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대안학교는 부모의 참여도가 높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대안학교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학교의 정형화된 프로그램이나 방식에 만족스럽지 많아서, 혹은 다른 관심이 필요한 경우 많이 이용하므로 보호자의 참여도가 높아야 함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이는 학교마다, 아이의 학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요즘 초등학교 실과 수업떄 코딩 수업 있나요?
안녕하세요. 네, 소프트웨어 교육이 있으며, 실제로 코딩적 사고를 배우기 위해 간단한 프로그램을 활용하기도 하고요.아니면 언플러그드 활동이라고 해서 다양한 재미있는 교구를 이용해서 수업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놀이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만들기를 좋아하도록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처음에는 쉽고 간단한 활동부터 하여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해달라고 한다고 해서 다 해주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다른 아이들보다 학업성적이 떨어져 속상해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학업 성적이 떨어지는 이유를 살펴보고, 그 이유에 맞게 아이에게 조언 혹은 도움을 주는 게 좋겠습니다. 공부를 하지 않고 성적이 떨어져서 속상해 하는 거라면 공부하도록 유도해 주시고, 공부를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하고 있다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안내 및 도움을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괜찮다고 긍정적인 말을 건네 아이가 위축되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사회 과목에서 주제가 어렵다고 느끼며 포기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사회 과목에서 주제가 어렵다는 게 무슨 뜻일까요? 특정한 단원이나 주제를 어려워 한다는 뜻일까요? 그 단원이나 주제와 관련하여 쉽게 풀어서 설명해 주시거나, 이해가 될 수 있도록 영상 자료 등을 활용하여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수업을 듣는 중에 자꾸 산만해지는 아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평소에 집에서 아이가 집중할 수 있도록 공부나 활동 등을 집중하는 연습을 해나가도록 도와 주세요. 그리고 수업 시간에 지켜야 할 예절을 아이에게 안내하고, 아이가 산만해 하는 걸 스스로 교정하는 게 어렵다면 이야기를 나누어 아이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방과후 학원 수업에 너무 지치고 힘들어하는 아이, 계속 다니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방과후학교 학원 수업에 너무 힘들어 하고 있다면, 아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을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아이가 수업으로 너무 스트레스를 받거나 힘들어 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학원 수나 다니는 학원 종류 등을 조절해 보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피아노를 아주 어릴때부터 배우면 아이들 심리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네, 피아노를 배우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아이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하여 진도를 나가면서 아이가 피아노를 배운다면, 누르면서 소리가 나는 경험, 그리고 연주하는 경험을 통해서 아이들의 소근육 발달 및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수학을 싫어하는데 어떻게 하면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수학을 복잡한 계산이나 암기의 과목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해 주세요.처음에는 흥미 위주로 접근하고, 기초 문제 위주로 풀도록 해 주시고 박물관이나 체험관 등으로 흥미를 줄 수 있도록 해 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과제 제출을 자꾸 잊어버리는 아이, 어떻게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과제 제출해야 하는 게 있다면 가능한 그 즉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예 하교 후에 바로, 혹은 저녁 식사 전에 이렇게 일정하게 시간을 정해서 그 날의 과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또 과제를 수행하도록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겠습니다.
286
287
288
289
2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