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교실의 물리적 환경이 아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교실의 물리적 환경이 어떠한지에 따라서 아이들에게 주는 느낌이나 감각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온돌 교실이라면 아이들이 조금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고, 놀이처럼 되어 있다면 아이들이 놀이를 더 많이 할 수 있고 친근감을 주지만, 학습에 안 좋은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몇 학년이 혹은 몇 살이 쓸 건지, 어떠한 과목을 중점으로 할 건지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적게는 책상 배치, 넓게는 인테리어 등을 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Q. 교사간의 협력을 통한 유아 교육 향상 방법은?
안녕하세요. 교사간의 다양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참여, 그리고 여러 회의나 소통을 통해서 더 나은 교육 방법에 대한 고민, 실제로 수업을 해본 후기의 공유, 괜찮은 수업 아이디어나 교구의 공유를 통해서 교사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사 간의 협력과 다양한 교류는 좋은 수업을 만들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Q. 교사가 가져야할 중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서이초의 사건으로 인하여 교사가 가져야 할 역량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여러 정책적인 개선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교권 침해와 정당한 생활 지도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있다고 생각이 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인 변화, 그리고 혼자만의 잘못이 아니니 고민을 나누고 또 다른 선생님, 학교, 교육청 등과 문제를 공유하면서 부담을 짊어질 수 있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Q. 교사로서 지속적인 자기 개발 방법은?
안녕하세요.교사로 교육과정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2022 교육과정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달라진 점과 지도에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등, 이러한 연구, 분석, 비교를 하는 데에 자기계발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악기를 배우거나, 운동을 하거나, 어학 공부를 하는 등 이러한 것들도 교육과 직접적인 연결이 되어 도움이 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교사의 역량을 키워나가 학습 과정에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