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상에서 불암감이 커져 힘들어하는 아이, 어떻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일상에서 어떠한 이유로, 어떠한 지점에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지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이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보는 게 필요해요. 아이를 달래주시고, 또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가족 분위기를 만들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정도가 심하고, 가정에서의 훈육 및 분위기 조성으로 어려움이 있다면 상담이나 전문적인 치료적 접근도 고민해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Q. 사회성이 부족하고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하는 아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사회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친구들과 다양하게 교류하며 친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마련해 주세요. 놀이 시간을 갖는 것, 가정 내에서 먼저 익숙한 사람들끼리 보드게임 등을 하면서 놀이 활동, 대화 등의 사회적 겨험을 해나갈 수 있게끔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다른 친구에게 먼저 놀자고 제안하는 말하기 등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집에서 연습하는 것도 필요하고,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꿈이 무엇인지 알지 못해 방황하는 아이, 어떻게 방향을 잡아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직 6학년이라면, 꿈은 꿈이고 꿈이라는 것은 중학생이 되어서도,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바뀔 수도 있고 심지어 그때까지 꿈이 없는 사람도 있어요. 꿈을 반드시 정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정한다고 하더라도 얼마든지 바뀔 수 있으니 너무 당장 정하려고 하거나, 이걸로 스트레스를 받기보다는 지금은 다양하게 탐색하고, 또 다양하게 알아보고자 하는 걸로 충분하다고 안내해 주세요.
Q. 성적에 대해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 어떻게 마음의 안정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성적에 대해서 너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성적이라는 것은 내가 지금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하기 위한 지표이지, 이게 절대적인 건 아니라고 해 주세요. 그리고 다음 시험을 더 잘 보면 된다고 응원해 주시면서, 아이가 그 시험에서 스트레스와 좌절로 끝나지 않고 더 나아갈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면서 다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싸움이 매우 잦은 부모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어떤 성격형성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물론 아이의 성격을 형성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것 하나만으로 단정 지어서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아무래도 그러한 부부싸움, 아이들이 그러한 싸움에 노출이 되면서 자란다면 아이들도 공격적인 성향을 지니거나, 보호자에게 의지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내성적인 심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개인 차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