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모의 과도한 간섭이 유아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물론 어릴 때, 특히 유아 시기에는 자녀가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기에 아이의 안전한 발달을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의 간섭과 제재가 필요합니다. 다만, 이러한 과도한 간섭이 유아기를 넘어 그 이후에도 계속 지속된다면 아이들은 의존적인 성향을 띠게 되고, 또한 독립성을 지니지 못하여 사회적 관계 형성과 학교 생활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아이가 자라면서 점진적으로 자녀에게 역할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 하는 행동이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개입인지, 지나친 간섭인지 생각해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Q. 유아 한글공부는 언제부터 시작하는게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글자를 읽고 쓰는 해득과 관련한 한글 공부는 보통 5~7세 사이에 진행을 합니다. 이는 개인 차가 있는 게, 아이가 곧잘 따라가는지, 그리고 여러 활동을 잘 따라하는지 고려하여 결정하시면 되며 처음부터 학습으로 하기보다는 놀이 위주로 즐겁게 하면서 자음자, 모음자를 익히도록, 그리고 발음과 연결하도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Q. 아이들은 괜찮은데 부모가 교육이 올바르지 않을때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사실, 어려운 문제이기는 합니다. 아이를 가르치고, 아이를 지도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본인이 본인의 아이를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하는 보호자님이 적지 않으세요. 그래서 무언가 아이의 성장을 위해서, 좋은 의도로 말을 해주더라도 방어적으로 받아들이고 이걸 아이 혹은 본인(보호자)에 대한 공격으로 여기는 분들도 있으십니다. (모든 분들이 그러지는 않아요.)그렇기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고, 그러한 의미에서 요즘 육아, 훈육에 대한 다양한 방송이 나오는 건 저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기회가 된다면, 지자체나 학교에서 하는 부모 교육 혹은 관련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보면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하고, 무엇보다도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거라고 그러한 보호자가 방어적으로 대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기술도 필요해 보입니다.
Q. 아이가 친구들을 따라가며 주도권을 갖지 못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사실 모든 아이들이 주도권을 가질 수는 없으나, 그래도 친구들 사이에서, 혹은 그 관계에서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또 본인이 주도하거나 제안을 하는 연습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집에서 제안하는 말하기, 그리고 무언가를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나가면서 친구들 사이에서 주도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10대 아들이 아동학대 혐의로 아버지를 경찰에 신고했다.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한 아들에게 훈육차원에서 체벌했다가 경찰 조사를 받
안녕하세요.집에서 쫓아내어 아이가 추운 곳에서 떨면서 보냈다든가, 혹은 아이가 늦은 시간에 집에서 쫓겨나서 정서적으로 상당한 불안감을 느꼈다든지 등의 이유로 정서적인 아동학대에 해당하여 처벌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적어주신 내용에는 체벌에 대한 내용이 나오지 않으나, 현재 민법에서 체벌이 허용되지 않아 이 역시 아동학대의 소지가 있습니다. 다만, 이는 가능성의 측면이고, 이게 훈육인지 학대인지 등은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가려질 것으로 보입니다.